본문 바로가기
2007.10.12 00:25

새말 만들기

조회 수 7796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말 만들기

기성세대들은 대체로 새말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흔히 ‘통신 언어’, ‘인터넷 언어’, ‘채팅어’, ‘외계어’ 등과 같이 청소년들이 온라인에서 쓰는 말을 떠올리기 때문이다. 국어원 설문 조사 결과, 기성세대의 90% 이상이 통신 언어로 세대 차이를 느낀다고 한다. 그러나 새말을 만드는 주체는 청소년만이 아니며, 그렇게 부정적인 개념을 포함하지도 않는다.

누구나 새말을 만들 수 있다. ‘아?d?d’이라는 말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잘못 친 오타인데, 다른 사람들이 따라 하면서 인터넷 시늉말(의태어)로 널리 쓰이게 됐다. 이처럼 우연히 만들어진 새말이 있는가 하면 일부러 만든 말도 있다. ‘발열옷, 골프폰’처럼 학문이나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물건이나 개념이 생겼을 때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있고, 밖에서 들어온 외국어를 대신할 우리말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댓글’이나 ‘누리꾼’이 그런 보기다.

널리 쓰이는 말이라도 일본어 잔재, 어려운 한자어들은 쉬운 우리말로 바꾸려는 노력이 계속돼 왔다. ‘나시’(なし)를 대신할 말로 ‘민소매’라는 말을 만들었다. ‘적자생존’에 비추어 만들어 낸 ‘혁자생존’(革者生存)처럼 흥미를 끌거나 강조하려는 조어도 있다.

누구나 새말을 만들어 쓸 수 있는데도 청소년들이 온라인에서 쓰는 말이 곧 새말이라 생각하게 된 것은 인터넷이 의사소통과 문화 확산의 주된 매체로 자리잡았다는 말도 되겠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59
1324 바람의종 2009.05.06 7844
1323 몇과 수 바람의종 2010.10.11 7844
1322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44
1321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42
1320 경범죄 위반 바람의종 2010.09.29 7837
1319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35
1318 주최, 주관, 후원 바람의종 2009.07.23 7832
1317 쓰레기 분리 수거 바람의종 2008.09.02 7829
1316 윗옷, 웃옷 바람의종 2008.09.25 7829
1315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828
1314 두루뭉수리 風磬 2006.11.16 7823
1313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821
1312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819
1311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14
1310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06
1309 단출하다 風磬 2006.11.06 7806
1308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806
1307 엑기스 바람의종 2008.02.17 7801
1306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08.11.18 7799
1305 입소문 바람의종 2010.03.04 7799
1304 암울과 우울 바람의종 2011.11.27 7799
1303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