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05 12:44

고려에 넣어?

조회 수 8203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려에 넣어?

우리는 쓸모없는 말을 하면서 아픔을 덤으로 겪는다. “감안하다, 고려하다, 참작하다, 계산하다 …”들은 쓰임이 비슷하다. 말만 많을 뿐 생산성이 없다. ‘감안’(勘案)은 왜식투이니 예부터 쓰던 ‘고려·참작’으로 바꾸라고 한다. 때로는 바꿔 쓴들 뭐가 나아지랴 싶다. 물론 그런 노력에서 좀은 분별심이 생기고 말 갈피가 잡힐 터이다.

그런데, 한걸음 나아가 헤아리면 앞의 말들은 죄다 버려도 될 말이다. ‘헤아리다’면 뜻·쓰임에서 이들을 아우르는 데 모자람이 없고, 쉽고 정확한데다 말맛도 살기 때문이다. ‘살피다·셈하다·생각하다·따지다’ 들도 이에 못지 않다.

“계산에 넣다, 계산에 넣지 않다”란 말을 흔히 쓴다. 영어 익은말(take account of/ take … into account/ taking into … account/ leave out of account /leave out of considertion)을 뒤친 표현들이다.

한자말 ‘산입하다’(算入-)를 ‘셈쳐 넣다, 셈해 넣다, 셈에 넣다’로 다듬어 쓰는데, 실제로는 ‘계산에 넣다’로 많이 쓴다. 이는 한자말과 영어에 두루 가닿는 연원이 복잡한 번역투인 셈이다. 이미 버릇돼 고치기 어려운 지경이지만 ‘계산에 넣다’ 역시 “아우르다, 헤아리다’ 정도로 끝내서 아쉬울 게 없는 말이다.

“고려에 넣다, 고려에 넣지 않다”란 말도 흔히 쓰는데, ‘계산에 넣다’를 다시 뒤친 표현으로서, 무척 부자연스럽다. 이는 그냥 “고려하다, 고려하지 않다”가 낫고, 이 역시 ‘헤아리다·생각하다’로 바꿔 써야 간명하고 쉬워진다.

△환경적, 현실적 요소들을 고려에 넣지 않고 오로지 ‘돈’만을 가지고 따질 경우 → 환경이나 현실적 요소들을 헤아리지 않고 ‘돈’으로만 따진다면.
△해외 용병을 수입하는 경우, 반드시 고려에 넣어야만 하는 요소가 있다 → 외국선수를 데려올 때 반드시 짚어봐야 할 점이 있다.
△이같은 상관 관계는 비만과 당뇨를 고려에 넣어도 여전히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됐다 → 이런 상관 관계는 비만과 당뇨를 고려해도 여전히 의미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런 것을 포함해 모든 것을 고려에 넣어 입장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 모든 것을 헤아려서 태도를 정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1994년 판결은 “사실의 동일성이 갖는 법률적 기능을 염두에 두고, 피고인의 행위와 그 사회적인 사실관계를 기본으로 하되, 그 규범적 요소도 고려에 넣어 판단하여야 할 것”이라고 판시했다 → 1994년 판결은 “사실의 동일성이 갖는 법률적 기능을 헤아리고, 피고인의 행위와 ~, 그 규범적 요소도 아울러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판시했다.
△불법복제와 다운로드가 판치는 현실을 고려에 넣는다면, 현재 극장과 영화가 상업적으로 대단히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판단을 하게 된다 → 불법복제와 내려받기가 판치는 현실을 다시 헤아린다면, ~.
△각 학파가 불교의 화엄·선 사상 등과 같은 비유교적인 사상 형태로부터 받은 영향까지 고려에 넣는다면, 차이점은 훨씬 더 커지기 마련이다 → ~ 영향까지 고려한다면 ~.
△차 타는 시간을 계산에 넣고 여정을 짜다 → 차 타는 시간도 헤아려 여정을 짜다.
△혹 유전되었을 수도 있는 성향까지도 고려에 넣어 살펴보아야 한다 → 혹 유전되었을 수도 있는 성향도 아울러 살펴봐야 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510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6388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6Nov
    by 바람의종
    2011/11/16 by 바람의종
    Views 11889 

    계피떡

  5. No Image 20Nov
    by 바람의종
    2008/11/20 by 바람의종
    Views 12362 

    고개를 떨구다

  6. No Image 16Jul
    by 바람의종
    2008/07/16 by 바람의종
    Views 7660 

    고개인사

  7. No Image 26May
    by 바람의종
    2009/05/26 by 바람의종
    Views 5946 

    고객님?

  8. No Image 18Dec
    by 바람의종
    2007/12/18 by 바람의종
    Views 9029 

    고구마

  9.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12/02/01 by 바람의종
    Views 10688 

    고국, 모국, 조국

  10. No Image 29Nov
    by 바람의종
    2009/11/29 by 바람의종
    Views 9914 

    고니

  11.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12. No Image 03Aug
    by 바람의종
    2009/08/03 by 바람의종
    Views 6589 

    고도쇠

  13. 고라니

  14. 고래

  15. No Image 05Oct
    by 바람의종
    2007/10/05 by 바람의종
    Views 8203 

    고려에 넣어?

  16. No Image 13Oct
    by 風文
    2021/10/13 by 風文
    Views 1074 

    고령화와 언어

  17. 고맙습니다 / 김지석

  18. No Image 27Aug
    by 바람의종
    2010/08/27 by 바람의종
    Views 10037 

    고명딸

  19. No Image 16Sep
    by 風磬
    2006/09/16 by 風磬
    Views 15975 

    고명딸

  20. No Image 03Jun
    by 바람의종
    2007/06/03 by 바람의종
    Views 7383 

    고무적

  21. No Image 01Sep
    by 바람의종
    2009/09/01 by 바람의종
    Views 9320 

    고문과, 짬밥

  22. No Image 06Dec
    by 바람의종
    2008/12/06 by 바람의종
    Views 16566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23. No Image 03Nov
    by 바람의종
    2010/11/03 by 바람의종
    Views 9374 

    고백, 자백

  24. No Image 05Aug
    by 風文
    2022/08/05 by 風文
    Views 1508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25. No Image 16Sep
    by 風磬
    2006/09/16 by 風磬
    Views 15828 

    고뿔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