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22 04:43

‘김치’와 ‘지’

조회 수 6866 추천 수 2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김치’와 ‘지’ - 고장말탐험

김치는 방언에서는 ‘짐치’ 또는 ‘지’라고 말한다. ‘짐치’는 한자어인 ‘짐 , 짐’에서 온 말이지만, ‘지’라는 말은 ‘디히>디>지’로 변한 아주 오래된 우리말이다. 표준어에서는 ‘배추지’의 ‘-지’를 명사로 보지 않고 ‘접미사’로 처리한다. ‘지’가 명사로 쓰일 때는 사투리로 처리한다.

‘지’에는 배추지·무수지(무지)·오이지·고들빼기지·파지·열무지 등이 있다. 배추나 열무로 김치를 처음 담글 때, 이 김치를 ‘쌩지’(생지)라고 말하고, 오래된 김치는 ‘묵은지’, 익은 김치는 ‘익은지’, 신 김치는 ‘신지’라 한다.

‘짓국’이란 반찬은 ‘김치 국물’이라는 뜻에다, ‘열무에 물을 많이 넣어 삼삼하게 담근 김치’를 말하기도 한다. 뒤쪽을 전라도에서는 ‘싱건지’라고 한다. 이는 ‘싱거운 김치’를 일컫는데, ‘싱겁다’에서 나온 것이다. ‘짓국’ 또는 ‘싱건지’를 ‘물김치’라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 표준어에는 없던 말로서 생긴 지 그리 오래된 말은 아니다.

‘짠지’는 ‘멸치짠지, 콩짠지’ 등을 말할 때 주로 쓰이는데, ‘짠 밑반찬’을 말한다. 때에 따라 ‘무가 흔할 때 소금에 절여두었다가 채를 썰어서 먹는 밑반찬’을 ‘짠지’라고도 한다. ‘멸치짠지, 콩짠지’는 고장말이고 표준어로는 ‘멸치조림, 콩조림’이라고 하는 줄 안다.

‘지’는 음절이 하나인 말이 갖는 불안정성 탓에 복합어에 주로 쓰이지만 온전한 말로 대접해야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94
3128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437
312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299
3126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311
312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278
3124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195
3123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304
3122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418
3121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612
3120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004
311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369
3118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037
3117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340
311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272
3115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133
3114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415
3113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31
3112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104
3111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25
3110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337
3109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524
310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034
3107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3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