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22 04:43

‘김치’와 ‘지’

조회 수 7175 추천 수 2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김치’와 ‘지’ - 고장말탐험

김치는 방언에서는 ‘짐치’ 또는 ‘지’라고 말한다. ‘짐치’는 한자어인 ‘짐 , 짐’에서 온 말이지만, ‘지’라는 말은 ‘디히>디>지’로 변한 아주 오래된 우리말이다. 표준어에서는 ‘배추지’의 ‘-지’를 명사로 보지 않고 ‘접미사’로 처리한다. ‘지’가 명사로 쓰일 때는 사투리로 처리한다.

‘지’에는 배추지·무수지(무지)·오이지·고들빼기지·파지·열무지 등이 있다. 배추나 열무로 김치를 처음 담글 때, 이 김치를 ‘쌩지’(생지)라고 말하고, 오래된 김치는 ‘묵은지’, 익은 김치는 ‘익은지’, 신 김치는 ‘신지’라 한다.

‘짓국’이란 반찬은 ‘김치 국물’이라는 뜻에다, ‘열무에 물을 많이 넣어 삼삼하게 담근 김치’를 말하기도 한다. 뒤쪽을 전라도에서는 ‘싱건지’라고 한다. 이는 ‘싱거운 김치’를 일컫는데, ‘싱겁다’에서 나온 것이다. ‘짓국’ 또는 ‘싱건지’를 ‘물김치’라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 표준어에는 없던 말로서 생긴 지 그리 오래된 말은 아니다.

‘짠지’는 ‘멸치짠지, 콩짠지’ 등을 말할 때 주로 쓰이는데, ‘짠 밑반찬’을 말한다. 때에 따라 ‘무가 흔할 때 소금에 절여두었다가 채를 썰어서 먹는 밑반찬’을 ‘짠지’라고도 한다. ‘멸치짠지, 콩짠지’는 고장말이고 표준어로는 ‘멸치조림, 콩조림’이라고 하는 줄 안다.

‘지’는 음절이 하나인 말이 갖는 불안정성 탓에 복합어에 주로 쓰이지만 온전한 말로 대접해야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481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615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9Oct
    by 바람의종
    2007/10/09 by 바람의종
    Views 11846 

    단소리/쓴소리

  5. No Image 09Oct
    by 바람의종
    2007/10/09 by 바람의종
    Views 13660 

    휘하

  6. No Image 08Oct
    by 바람의종
    2007/10/08 by 바람의종
    Views 11980 

    떼부자

  7. No Image 08Oct
    by 바람의종
    2007/10/08 by 바람의종
    Views 13727 

    효시

  8.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7/10/06 by 바람의종
    Views 13660 

    언어 분류

  9.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7/10/06 by 바람의종
    Views 18659 

    환갑

  10. No Image 05Oct
    by 바람의종
    2007/10/05 by 바람의종
    Views 8201 

    고려에 넣어?

  11. No Image 05Oct
    by 바람의종
    2007/10/05 by 바람의종
    Views 11109 

    홍일점

  12. No Image 29Sep
    by 바람의종
    2007/09/29 by 바람의종
    Views 12872 

    ‘기쁘다’와 ‘즐겁다’

  13. No Image 29Sep
    by 바람의종
    2007/09/29 by 바람의종
    Views 9262 

    호남

  14. No Image 28Sep
    by 바람의종
    2007/09/28 by 바람의종
    Views 13038 

    상일꾼·큰머슴

  15. No Image 28Sep
    by 바람의종
    2007/09/28 by 바람의종
    Views 8603 

    호구

  16. No Image 26Sep
    by 바람의종
    2007/09/26 by 바람의종
    Views 13166 

    언어의 가짓수

  17. No Image 26Sep
    by 바람의종
    2007/09/26 by 바람의종
    Views 11585 

    호구

  18. No Image 23Sep
    by 바람의종
    2007/09/23 by 바람의종
    Views 14829 

    기다 아니다

  19. No Image 23Sep
    by 바람의종
    2007/09/23 by 바람의종
    Views 12645 

    형극

  20. No Image 22Sep
    by 바람의종
    2007/09/22 by 바람의종
    Views 7175 

    ‘김치’와 ‘지’

  21. No Image 22Sep
    by 바람의종
    2007/09/22 by 바람의종
    Views 9338 

  22. No Image 21Sep
    by 바람의종
    2007/09/21 by 바람의종
    Views 8480 

    행각

  23. No Image 20Sep
    by 바람의종
    2007/09/20 by 바람의종
    Views 8640 

    합하

  24. No Image 19Sep
    by 바람의종
    2007/09/19 by 바람의종
    Views 11321 

    한약 한 제

  25.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7/09/18 by 바람의종
    Views 11386 

    한성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