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429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말뜻말맛
한겨레









‘속’과 ‘안’은 본디 다른 말인데, 요즘은 헷갈려 뒤죽박죽 쓴다.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니 ‘속’은 “거죽이나 껍질로 싸인 물체의 안쪽 부분” “일정하게 둘러싸인 것의 안쪽으로 들어간 부분”이라 하고, ‘안’은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이라 해놨다. 어떻게 다른지 가늠하기 어렵다. 그 밖에도 여러 풀이를 덧붙였으나 그건 죄다 위에 풀이한 뜻에서 번져나간 것에 지나지 않는 것들이다. 본디뜻을 또렷하게 밝혀놓으면 번지고 퍼져나간 뜻은 절로 졸가리가 서서 쉽게 알아들을 수가 있다. 그러나 본디뜻을 흐릿하게 해놓으니까 그런 여러 풀이가 사람을 더욱 헷갈리게 만들 뿐이다.


‘속’은 ‘겉’과 짝을 이뤄 평면이나 덩이를 뜻하고, ‘안’은 ‘밖’과 짝을 이뤄 텅빈 공간을 뜻한다. ‘속’은 ‘겉’과 하나가 돼 붙어 있지만, ‘안’은 ‘밖’과 둘로 나뉘어 있다. 그러니까 국어사전이 보기로 내놓은 “사람 하나 겨우 들어갈까 말까 한 좁은 골목 ‘속’에 쓰러져 가는 판잣집이 비스듬히 기울어진 채 서 있었다” “지갑 ‘안’에서 돈을 꺼내다” 이런 것들은 잘못 쓴 보기로 내세워야 마땅한 것들이다. 골목에는 ‘속’이 없고 ‘안’이 있을 뿐이고, 지갑에는 ‘안’이 없고 ‘속’이 있을 뿐이다. 우리 속담 “독 안에 든 쥐” 또는 “보선이라 속을 뒤집어 보이겠나!” 같은 쓰임새를 눈여겨 살피면 깨달을 수 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09
1896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19
1895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18
189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18
1893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15
1892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4
1891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109
1890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09
1889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08
1888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08
1887 깡통 바람의종 2008.02.02 9104
1886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104
1885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104
1884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3
1883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103
1882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100
1881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8
1880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092
1879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82
1878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72
1877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72
1876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72
1875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