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406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말뜻말맛
한겨레









‘속’과 ‘안’은 본디 다른 말인데, 요즘은 헷갈려 뒤죽박죽 쓴다.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니 ‘속’은 “거죽이나 껍질로 싸인 물체의 안쪽 부분” “일정하게 둘러싸인 것의 안쪽으로 들어간 부분”이라 하고, ‘안’은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이라 해놨다. 어떻게 다른지 가늠하기 어렵다. 그 밖에도 여러 풀이를 덧붙였으나 그건 죄다 위에 풀이한 뜻에서 번져나간 것에 지나지 않는 것들이다. 본디뜻을 또렷하게 밝혀놓으면 번지고 퍼져나간 뜻은 절로 졸가리가 서서 쉽게 알아들을 수가 있다. 그러나 본디뜻을 흐릿하게 해놓으니까 그런 여러 풀이가 사람을 더욱 헷갈리게 만들 뿐이다.


‘속’은 ‘겉’과 짝을 이뤄 평면이나 덩이를 뜻하고, ‘안’은 ‘밖’과 짝을 이뤄 텅빈 공간을 뜻한다. ‘속’은 ‘겉’과 하나가 돼 붙어 있지만, ‘안’은 ‘밖’과 둘로 나뉘어 있다. 그러니까 국어사전이 보기로 내놓은 “사람 하나 겨우 들어갈까 말까 한 좁은 골목 ‘속’에 쓰러져 가는 판잣집이 비스듬히 기울어진 채 서 있었다” “지갑 ‘안’에서 돈을 꺼내다” 이런 것들은 잘못 쓴 보기로 내세워야 마땅한 것들이다. 골목에는 ‘속’이 없고 ‘안’이 있을 뿐이고, 지갑에는 ‘안’이 없고 ‘속’이 있을 뿐이다. 우리 속담 “독 안에 든 쥐” 또는 “보선이라 속을 뒤집어 보이겠나!” 같은 쓰임새를 눈여겨 살피면 깨달을 수 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89
1874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85
1873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386
1872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92
1871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395
1870 빈소와 분향소 바람의종 2010.09.08 8396
1869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399
1868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399
1867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399
1866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04
1865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405
1864 날래 가라우! 바람의종 2009.10.06 8406
1863 볼멘소리 바람의종 2010.09.03 8406
»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406
1861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406
1860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08
1859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12
1858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414
1857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415
1856 방송 용어 바람의종 2010.03.05 8416
1855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416
1854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21
1853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2.12 84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