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8.02 01:10

양재기

조회 수 11248 추천 수 3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양재기

  본뜻 : 한자어 양자기에서 나온 말이다.  흙으로 구운 우리 나라 도자기는 자칫 잘못하면 깨지기 일쑤였는데 서양에서 들어온 금속 그릇 등은 함부로 굴려도 깨지지 않고 튼튼했기에, 알루미늄이나 양은으로 만든 그릇들을 양자기라고 불렀다.  그것이 음운 변화를 일으켜서 양재기가 된 것이다.

  바뀐 뜻 : 알루미늄으로 만든 그릇을 가리키는 말이다.  요즈음은 알루미늄으로 만든 양재기보다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든 그릇이 더 널리 쓰이고 있다.

  "보기글"
  -깨지길 하나, 금이 가길 하나?  양재기야말로 만년 쓸 수 있는 그릇이지
  -60년대만 해도 양재기가 귀했는데 이제는 또 다시 옛날처럼 도자기 그릇이 유행이니 도대체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될 지 모르겠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2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716
1852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300
1851 여부, 유무 바람의종 2009.05.29 15336
1850 아나운서 바람의종 2009.05.30 6330
1849 하더란대두 바람의종 2009.05.30 7264
1848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57
1847 재원(才媛), 향년 바람의종 2009.05.30 9996
1846 망년회(忘年會) 바람의종 2009.05.30 6014
1845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0
1844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67
1843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166
1842 주위 산만, 주의 산만 바람의종 2009.05.31 10912
1841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00
1840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78
1839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9.06.01 9436
1838 날더러, 너더러, 저더러 바람의종 2009.06.01 7652
1837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96
1836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40
1835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917
1834 달디달다, 다디단, 자디잘다, 길디길다 바람의종 2009.06.09 10806
1833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80
1832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28
1831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