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02.05 10:06

조개

조회 수 1982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조개

뜬금없는 조개 타령을 하려 한다. 엊그제 지인 생일상에 오른 굴찜과 여흥 시간에 부른 노래 ‘조개껍질 묶어’ 때문만은 아니다. ‘국내산 피조개 양식 첫 성공’(ㅍ경제신문), ‘새조개 채취권 놓고 바닷속에 철조망까지-목숨 건 다툼’(ㅇ신문) 기사가 겹쳐 떠오른 탓이다. 겨울이 제철이기도 한 조개의 백과사전 풀이는 다음과 같다. “두 장의 판판한 껍데기로 몸을 둘러싸고 있는 연체동물이다. 껍데기는 ‘접번’에 의해 맞물려 있으며, 수축성이 있는 관자가 붙어 있어 껍데기를 열고 닫는다. 껍데기 안쪽엔 ‘외투막’이 있고 칼슘을 지닌 액체를 내어 껍데기를 만든다. ‘부족’(斧足)으로 땅을 파고들어가거나 기어다닌다. 민물, 바닷물 등 물속 생태계에서는 어디에나 분포하며 ‘조간대’에서 수심 1만m까지 서식한다.(위키백과)

‘접번’은 경첩이나 이음매, 관절을 뜻하는 일본어 ‘조쓰가이’(ちょうつがい, 蝶番)를 걸러내지 않고 옮긴 말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오지 않는 표현이다. ‘부족’은 ‘부족류’와 ‘부족강’ 따위의 형태로 뜻풀이에서만 등장한다. 국어사전으로는 ‘접번’이나 ‘도끼(斧)처럼 생긴 발(足)’인 ‘부족’의 뜻을 알 수 없는 것이다. 모름지기 사전이란 ‘외투막: (외투처럼) 연체동물의 몸을 싼 막’, ‘조간대: 밀물이 가장 높은 해면까지 꽉 차게 들어오는 때(만조)와 썰물 때 해수면이 가장 낮아진 때(간조) 해안선 사이의 부분’처럼 답을 주어야 한다.

사전 속 조개를 훑어보니 재미난 것도 있었다. 나비, 새, 앵무, 말, 개처럼 동물 이름이 붙은 게 있는가 하면 명주, 모시, 무명처럼 피륙의 옷을 입은 것도 있다. 콩이나 떡처럼 맛깔난 앞가지로 모자라 아예 ‘맛’을 머리에 얹고 있는 녀석도 빠지지 않는다. 국화, 네모소쿠리, 딱지, 진주같이 옛 삶을 떠올리게 하는 것에서 혈소판 때문에 핏빛 비치는 피조개까지 하나하나 생김과 쓰임이 생생하게 살아오는 살가운 이름들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890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536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0286
    read more
  4. 졸립다 / 졸리다

    Date2009.07.08 By바람의종 Views9545
    Read More
  5. 존맛

    Date2023.06.28 By風文 Views1496
    Read More
  6. 족두리꽃

    Date2008.03.19 By바람의종 Views7336
    Read More
  7. 조카

    Date2007.03.26 By바람의종 Views11107
    Read More
  8. 조종, 조정

    Date2010.04.17 By바람의종 Views10954
    Read More
  9. 조족지혈

    Date2007.12.21 By바람의종 Views12532
    Read More
  10. 조조할인

    Date2010.08.17 By바람의종 Views16301
    Read More
  11. 조장

    Date2007.08.18 By바람의종 Views7106
    Read More
  12. 조이·조시

    Date2008.07.17 By바람의종 Views6477
    Read More
  13. 조의금 봉투

    Date2023.11.15 By風文 Views1200
    Read More
  14. 조우, 해우, 만남

    Date2009.07.27 By바람의종 Views12762
    Read More
  15. 조언과 충고

    Date2012.05.22 By바람의종 Views9551
    Read More
  16. 조앙가

    Date2009.09.23 By바람의종 Views7746
    Read More
  17. 조사됐다

    Date2010.04.25 By바람의종 Views8376
    Read More
  18.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Date2009.11.24 By바람의종 Views9664
    Read More
  19. 조바심하다

    Date2007.03.24 By바람의종 Views6668
    Read More
  20. 조리다와 졸이다

    Date2010.10.04 By바람의종 Views10592
    Read More
  21. 조리다, 졸이다

    Date2012.11.06 By바람의종 Views15338
    Read More
  22. 조그만한, 자그만한

    Date2010.03.26 By바람의종 Views10877
    Read More
  23. 조개껍질

    Date2010.07.23 By바람의종 Views10452
    Read More
  24. 조개

    Date2013.02.05 By바람의종 Views19823
    Read More
  25. 조강지처

    Date2007.12.21 By바람의종 Views1042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