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01.25 13:26

조회 수 1791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이어트 하기’가 새해 목표의 으뜸이고 ‘좋아하는 이성 친구 사귀기’가 버금이다. 그리고 ‘훈남·훈녀(잘생기고 분위기 있는 남녀) 되는 것’이 새해 소원이다. 청춘 남녀의 얘기가 아니다. 한 포털 사이트가 어린이 2만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어른들은 모르는’ 어린이의 생각은 이것만이 아니었다. 체험형 놀이터를 찾은 미취학 어린이들에게 물으니 ‘마법사가 되고 싶다’처럼 그 또래다운 답이 많이 나왔지만 ‘엄마가 돈을 많이 벌었으면 좋겠다’는 것도 있었다.

이 답을 한 어린이의 엄마는 어떻게 돈을 벌까. 자본가나 자영업자가 아니라면 삯(일한 데 대하여 보수로 주는 것)으로 돈을 마련할 것이다. 올해 정부가 정한 최저임금은 시급(시간급) 기준 4860원으로 하루 8시간씩 한 주에 닷새 일한 노동자의 월 최저임금은 101만5740원이다. 날품팔이(날삯을 받고 일하는 사람)가 받는 임금은 일급(일당, 날삯)이고, 한 주 단위 보수는 주급이다. 월급쟁이(월급을 받아서 생활하는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나 샐러리맨(일정한 봉급을 받아 생활하는 사람)이라 하는 봉급생활자는 월급(월봉)을 받는다. 연봉(연급, 일년을 기준으로 정하여 지급하는 봉급)은 대개 다달이 나눠 받는다.

산업구조 등이 바뀌면서 새경(한 해 동안 일한 대가로 머슴에게 주는 돈이나 물건)이나 품삯이 사라진 자리에 페이(pay, 임금)와 인컴(income, 수입)이 자리 잡았고, 상여(직원들의 업적이나 공헌도에 따라 급료와는 별도로 주는 돈)보다 보너스가 널리 쓰인다. 연말정산 환급 세액이 지난해(4조8887억원)보다 줄어든 3조5000억원이 될 것이라는 소식에 아쉬워하는 봉급생활자 대부분은 오늘(25일)을 기다리며 살아간다. 지난해 12월말 현재 전국 노동자 체불임금은 1조1772억원(28만5000여명)으로, 2011년보다 898억원(6000명) 늘었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435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5916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8Sep
    by 바람의종
    2012/09/28 by 바람의종
    Views 12879 

    퍼드레기

  5. No Image 04Oct
    by 바람의종
    2012/10/04 by 바람의종
    Views 12225 

    북녘말

  6. No Image 05Oct
    by 바람의종
    2012/10/05 by 바람의종
    Views 12250 

    개쓰레기

  7. No Image 15Oct
    by 바람의종
    2012/10/15 by 바람의종
    Views 12291 

    드론

  8. No Image 30Oct
    by 바람의종
    2012/10/30 by 바람의종
    Views 11884 

    어기여차

  9. No Image 01Nov
    by 바람의종
    2012/11/01 by 바람의종
    Views 15121 

    세노야

  10. No Image 02Nov
    by 바람의종
    2012/11/02 by 바람의종
    Views 18672 

    황제

  11. No Image 14Nov
    by 바람의종
    2012/11/14 by 바람의종
    Views 77786 

    표피

  12. No Image 21Nov
    by 바람의종
    2012/11/21 by 바람의종
    Views 17639 

    참공약

  13. No Image 23Nov
    by 바람의종
    2012/11/23 by 바람의종
    Views 20842 

    명-태

  14. No Image 30Nov
    by 바람의종
    2012/11/30 by 바람의종
    Views 18543 

    박물관은 살아있다

  15. No Image 10Dec
    by 바람의종
    2012/12/10 by 바람의종
    Views 23882 

    박물관은 살아있다 2

  16. 외래어 합성어 적기

  17. No Image 17Dec
    by 바람의종
    2012/12/17 by 바람의종
    Views 19205 

    폭탄주! 말지 말자.

  18. No Image 21Dec
    by 바람의종
    2012/12/21 by 바람의종
    Views 21342 

    통음

  19. No Image 04Jan
    by 바람의종
    2013/01/04 by 바람의종
    Views 21057 

    두루 흐린 온누리

  20.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13/01/15 by 바람의종
    Views 18062 

    등용문

  21.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13/01/21 by 바람의종
    Views 20130 

    어떠태?

  22. No Image 25Jan
    by 바람의종
    2013/01/25 by 바람의종
    Views 17910 

  23. No Image 05Feb
    by 바람의종
    2013/02/05 by 바람의종
    Views 19858 

    조개

  24. No Image 04Sep
    by 윤영환
    2006/09/04 by 윤영환
    Views 26250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25. No Image 07Sep
    by 風磬
    2006/09/07 by 風磬
    Views 16084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