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01.15 16:22

등용문

조회 수 1800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등용문


“‘집채만 한 파도’와 ‘집채를 덮을 만한 파도’의 차이점, 구분되세요?” 국립국어원이 새해 들어 펴낸 <쉼표, 마침표.>에 실은 글의 제목이다. 조사와 보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고 의존명사는 띄어 쓴다는 걸 설명한 글이다. 앞 문장의 ‘만’은 보조사, 뒤 문장의 ‘만’은 의존명사이니 띄어쓰기를 달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말 띄어쓰기 구별은 이래저래 쉽지 않은 일이다. 작은아버지의 집은 ‘작은집’으로 붙여 쓰지만, 규모가 작은 집은 ‘작은 집’으로 띄어 써야 하니 말이다.

글쓰기에 띄어쓰기가 있다면 말하기에는 끊어 읽기가 있다. 끊어 읽기는 현행 어문규정에 정리되어 있는 게 없으니 띄어쓰기보다 더 까다롭다. 같은 기사나 원고로 뉴스를 내보내고 낭독을 해도 사람에 따라 끊어 읽기가 달라지는 현상은 그래서 나오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끊어 읽으려면 어절보다 뜻에 따른 ‘의미절’을 따져야 한다. 지구 온난화 방지 협약의 하나인 ‘교토의정서’를 ‘교토의 정서[교토에 정서]’로 잘못 말한 방송 진행자가 톡톡히 망신을 당한 것도 문장의 뜻을 몰랐기에 벌어진 일이었다. 방송을 비롯한 입말의 세상에서는 띄어쓰기보다 중요한 게 끊어 읽기이다.

빅토르 위고의 작품인 <레미제라블>의 원제목은 ‘Les Miserables’로 ‘불쌍한(비천한) 사람들’이니 뜻에 따라 끊어 읽으면 ‘레-미제라블’이다. ‘레미-제라블’이 아닌 것이다. 오페라에서 주역을 맡은 여주인공 ‘프리마돈나’(prima donna)는 ‘제1의 여인’이란 뜻이니(브리태니커) ‘프리마-돈나’가 된다. 신라 화랑인 ‘기파랑’(耆婆郞)을 기린 향가는 ‘찬-기파랑-가’(讚---歌), 죽은 누이(亡妹)를 위한 향가는 ‘제-망매-가’(祭--歌)로 읽는 게 맞다. ‘잉어가 황허강 상류의 용문(龍門)을 오르면(登) 용이 된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등용문’은 그래서 ‘등-용문’으로 끊어야 제 뜻에 어울리는 것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670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829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0Jun
    by 바람의종
    2010/06/20 by 바람의종
    Views 19422 

    죄다, 죄여, 조이다, 조여

  5. No Image 14Sep
    by 風磬
    2006/09/14 by 風磬
    Views 19335 

    게거품

  6. No Image 05Mar
    by 바람의종
    2012/03/05 by 바람의종
    Views 19245 

    배부, 배포

  7. No Image 13Jan
    by 바람의종
    2008/01/13 by 바람의종
    Views 19225 

    볼장 다보다

  8. No Image 16Jun
    by 바람의종
    2010/06/16 by 바람의종
    Views 19222 

    널브러지다, 널부러지다, 너부러지다

  9. No Image 08Mar
    by 바람의종
    2009/03/08 by 바람의종
    Views 19192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10. No Image 17Dec
    by 바람의종
    2012/12/17 by 바람의종
    Views 19075 

    폭탄주! 말지 말자.

  11. No Image 09Feb
    by 바람의종
    2010/02/09 by 바람의종
    Views 19037 

    학을 떼다, 염병, 지랄

  12. No Image 25Jul
    by 바람의종
    2010/07/25 by 바람의종
    Views 18927 

    빌려 오다, 빌려 주다, 꾸다, 뀌다

  13. No Image 03Dec
    by 바람의종
    2012/12/03 by 바람의종
    Views 18901 

    수입산? 외국산?

  14. No Image 15Nov
    by 바람의종
    2011/11/15 by 바람의종
    Views 18765 

    초생달 / 초승달, 으슥하다 / 이슥하다, 비로소 / 비로서

  15. No Image 23Mar
    by 바람의종
    2009/03/23 by 바람의종
    Views 18722 

    주접떨다, 주접든다

  16.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12/06/11 by 바람의종
    Views 18686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17. No Image 15Jun
    by 바람의종
    2012/06/15 by 바람의종
    Views 18554 

    차후, 추후

  18. No Image 02Nov
    by 바람의종
    2012/11/02 by 바람의종
    Views 18509 

    황제

  19. No Image 30Nov
    by 바람의종
    2012/11/30 by 바람의종
    Views 18446 

    박물관은 살아있다

  20. No Image 01Sep
    by 바람의종
    2009/09/01 by 바람의종
    Views 18350 

    "드리다"의 띄어쓰기

  21.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7/10/06 by 바람의종
    Views 18214 

    환갑

  22. No Image 19Jul
    by 바람의종
    2010/07/19 by 바람의종
    Views 18072 

    하모, 갯장어, 꼼장어, 아나고, 붕장어

  23. No Image 16Oct
    by 바람의종
    2010/10/16 by 바람의종
    Views 18004 

    담배 한 까치, 한 개비, 한 개피

  24.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13/01/15 by 바람의종
    Views 18000 

    등용문

  25. No Image 29Feb
    by 바람의종
    2008/02/29 by 바람의종
    Views 18000 

    육시랄 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