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01 16:07

세노야

조회 수 1519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노야

‘세노야’(senoya)는 미국 시카고에 있는 뷔페식당이다. 곽재구 시인은 1990년에 ‘서울 세노야’를 발표했다. 김혜수와 변우민이 출연한 일일연속극 ‘세노야’는 1989년에 방송되었고, 가수 남진과 하춘화가 주인공을 맡은 영화 ‘세노야’는 1973년에 개봉했다. 노래 ‘세노야’는 조영남, 최백호, 최양숙, 나윤선, 김란영 등의 가수는 물론 배우 최민수도 불렀다. 양희은의 것으로 널리 알려졌지만 방송에서 처음으로 노래한 이는 작곡자인 김광희이다. ‘세노야’의 노랫말은 고은 시인이 1970년에 발표한 시다. ‘세노야’는 미국 피아니스트 짐 브릭먼의 음반에도 들어 있다. ‘세노야’가 라디오 방송 전파를 타고 세상에 퍼지기 시작한 때는 1970년 이맘때인 가을이었다.

‘세노야’의 역사와 존재를 더듬은 까닭은 어느 선배의 말 한마디 때문이다. “‘에야누 야누야…’가 일본 ‘뱃노래’에서 왔다”는 얘기를 건네니 “‘세노야’도 그렇다”며 나직하게 응답한 그는 <한국민요대전>을 엮어낸 최상일 민요전문 피디(PD)다. 그가 자신의 누리집에 올린 내용을 간추리면 이렇다. “‘세노야’가 일본말이라는 사실은 민요 취재를 하면서 알게 되었다. ‘세노야’는 일본 어부들이 배에서 (주로 멸치잡이)그물을 당기면서 부르던 뱃노래 후렴이다. 남해 지역에서 취재한 여러 자료를 분석하면 동쪽으로 갈수록 일본말이 많아진다. ‘세노야’는 우리말이 아닌 것이 확실해 보인다.”

고은 시인이 나고 자란 곳은 전북 군산시(당시 옥구군). 어릴 때 들었던 그물질 소리의 뿌리가 일본이라는 것을 몰랐을 것이다. 그물 올리며 메기고 받는 흥겨운 소리 ‘세노야’는 훗날 시가 되었고, 처연함 뚝뚝 떨어지는 노래로 거듭났다. 이런 이유로 1990년 <한겨레>가 창간 두 돌을 맞아 뽑은 ‘겨레의 노래’에 ‘세노야’가 꼽혔을 때 이의가 없지 않았다. 오히려 질곡의 역사가 반영된 민족의 노래가 될 수 있다는 의견 또한 만만치 않았다. 글쎄, 어느 쪽 손을 들어줘야 할까.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383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1047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5102
    read more
  4. 바이러스

    Date2012.12.04 By바람의종 Views17428
    Read More
  5. 수입산? 외국산?

    Date2012.12.03 By바람의종 Views19114
    Read More
  6. 외곬, 외골수

    Date2012.12.03 By바람의종 Views18018
    Read More
  7.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Date2012.11.30 By바람의종 Views21152
    Read More
  8. 박물관은 살아있다

    Date2012.11.30 By바람의종 Views18579
    Read More
  9. 함바집, 노가다

    Date2012.11.28 By바람의종 Views29750
    Read More
  10. 펴다와 피다

    Date2012.11.27 By바람의종 Views51263
    Read More
  11.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Date2012.11.23 By바람의종 Views24471
    Read More
  12. 명-태

    Date2012.11.23 By바람의종 Views20916
    Read More
  13. 충돌과 추돌

    Date2012.11.22 By바람의종 Views13982
    Read More
  14. 일절과 일체

    Date2012.11.21 By바람의종 Views15416
    Read More
  15. 참공약

    Date2012.11.21 By바람의종 Views17730
    Read More
  16. 불식과 척결

    Date2012.11.14 By바람의종 Views11357
    Read More
  17. 표피

    Date2012.11.14 By바람의종 Views78045
    Read More
  18. 조리다, 졸이다

    Date2012.11.06 By바람의종 Views15513
    Read More
  1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Date2012.11.06 By바람의종 Views41162
    Read More
  20. 건더기, 건데기

    Date2012.11.05 By바람의종 Views11607
    Read More
  21. 龜의 독음

    Date2012.11.05 By바람의종 Views8862
    Read More
  22.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Date2012.11.02 By바람의종 Views8942
    Read More
  23. 황제

    Date2012.11.02 By바람의종 Views18852
    Read More
  24. 결단과 결딴

    Date2012.11.01 By바람의종 Views9261
    Read More
  25. 세노야

    Date2012.11.01 By바람의종 Views1519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