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0.04 14:45

북녘말

조회 수 1225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북녘말

비무장지대의 철책이 오래되니 언어마저 변질됐다. 그 현장을 살펴봤다.

남한의 표준어에 대응해 북한엔 ‘문화어’가 있다. 중국식 한자말이나 일본식 한자말, 외래어 등을 주체사상에 맞게 다듬어 사용한 흔적이 보인다. 남한과 형태는 다르지만 의미가 같은 말(남새-채소, 소래-대야, 마라손-마라톤, 가슴띠-브래지어, 옷 벗는 칸-탈의실 등)이 있는가 하면, 형태는 같으나 뜻을 달리해 사용하는 말도 있다.

‘가치담배’의 경우 남한에선 갑을 뜯어 한 개비, 두 개비씩 낱개로 파는 담배를 뜻하나 북한에선 종이로 길게 만 담배인 ‘궐련(券煙)’의 의미로 쓰인다. ‘일꾼’이란 용어는 남한에서 일반적으로 ‘품삯을 받는 노동자’의 개념이 강하나 북한에선 ‘혁명과 건설을 위해 일정한 사업을 하는 사람’으로 조건을 붙여 사용하고 있다.

‘소행’이란 단어의 경우 더 이질적이다. 남한은 “소행이 괘씸하다” “면식범의 소행이다” 등으로 사회적 정서에 반하는 행동을 묘사할 때 쓰는데 북한에선 ‘아름다운 소행’ ‘소행이 방정하고 기특한 동무’ 식으로 선행을 격려할 때 사용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8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328
1346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37
1345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35
1344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932
1343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32
1342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927
1341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927
1340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926
1339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26
1338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26
1337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926
1336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926
1335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922
1334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921
1333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20
1332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919
1331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919
1330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919
1329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14
1328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913
1327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10
1326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903
1325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