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28 15:29

퍼드레기

조회 수 1302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퍼드레기

“굴을 처음으로 먹은 사람은 참으로 대담한 사람이다.” <걸리버 여행기>로 널리 알려진 아일랜드 작가 조너선 스위프트가 <고상한 대화>에서 한 말이다. 그럴듯한 얘기이다. 굴의 껍데기와 속살은 얼핏 흉물스러워 보이기 때문이다. 냄새도 강한데다 물컹한 질감 또한 썩 좋다 할 수 없는 생물을 처음 먹은 조상은 대담한, 또는 앞뒤 안 가리고 먹어보는 미욱한 사람일 것이다. 대담하든 미욱하든 낯선 무언가를 먹어본 조상이 있기에 지금 우리 밥상은 풍성해질 수 있었다. 굴이 그러하듯 산야에 널린 풀과 열매, 뿌리도 ‘대담한’ 누군가 있었기에 식용 여부가 가려졌을 테니 말이다.

대체로 음습한 곳에 자생하는 버섯도 그러하다. 광대버섯, 구슬버섯, 그물버섯, 기와버섯, 깔때기버섯, 달걀버섯, 말굽버섯, 못버섯…. 이처럼 주로 생김에 따라 이름 붙은 버섯 가운데 송이버섯이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 송이가 버섯의 으뜸 자리에 오른 것은 ‘100퍼센트 자연산’이어서 그럴 것이다. 맛으로 치면 ‘1능이, 2표고, 3송이’라는 말은 이제 옛말이 된 것이다. 한가위를 전후해 ‘봉화송이축제’, ‘양양송이축제’, ‘울진금강송송이축제’처럼 송이를 내세운 행사도 이어지고 있다.

어른들 따라 송이 채취에 나선 기억을 떠올리며 ‘송이 맛은 퍼드레기가 최고’라 하는 경북 봉화 출신의 사진작가를 만났다. ‘퍼드레기’는 갓이 완전히 퍼져 상품으로 내놓기에는 너무 자란 ‘등외품’을 이르는 지역어이다. 국립국어원 누리집에서는 ‘퍼드레기’를 강원도 강릉 방언으로 보고 ‘갓버섯’을 표준어로 제시하고 있지만 선뜻 동의하기 어렵다. ‘퍼드레기’는 강원도뿐 아니라 송이가 나오는 여러 지역에서 쓰고 있는 표현이며, 무엇보다 갓버섯은 송이와 다른 버섯이기 때문이다. 송이 산지에서는 ‘퍼드레기’를 ‘갓송이’라 하기도 한다. 현지 언중의 소리에 귀 기울이면 답은 쉽게 얻을 수 있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5097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638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3Dec
    by 바람의종
    2009/12/23 by 바람의종
    Views 13020 

    눈꼬리

  5. No Image 20Feb
    by 바람의종
    2009/02/20 by 바람의종
    Views 13002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6. No Image 29Jan
    by 바람의종
    2008/01/29 by 바람의종
    Views 13000 

    쥐뿔도 모른다

  7. No Image 01Oct
    by 바람의종
    2008/10/01 by 바람의종
    Views 12997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8. No Image 19Dec
    by 바람의종
    2010/12/19 by 바람의종
    Views 12996 

    12바늘을 꿰맸다

  9. No Image 01Sep
    by 바람의종
    2010/09/01 by 바람의종
    Views 12992 

    체제와 체계

  10. No Image 13Jul
    by 바람의종
    2009/07/13 by 바람의종
    Views 12987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11. No Image 06Jan
    by 바람의종
    2010/01/06 by 바람의종
    Views 12982 

    옷깃을 여미다

  12. No Image 28Dec
    by 바람의종
    2007/12/28 by 바람의종
    Views 12972 

    군불을 떼다

  13. No Image 13Apr
    by 바람의종
    2010/04/13 by 바람의종
    Views 12965 

    외곬과 외골수

  14. No Image 11Oct
    by 바람의종
    2010/10/11 by 바람의종
    Views 12961 

    마는, 만은

  15.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10/11/11 by 바람의종
    Views 12938 

    사위스럽다

  16.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10/11/11 by 바람의종
    Views 12933 

    섬뜩하다, 섬찟하다

  17. No Image 04Mar
    by 바람의종
    2008/03/04 by 바람의종
    Views 12922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18. No Image 17Jul
    by 바람의종
    2010/07/17 by 바람의종
    Views 12920 

    되려, 되레

  19. No Image 02Mar
    by 바람의종
    2010/03/02 by 바람의종
    Views 12897 

    밥힘, 밥심

  20.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10/03/16 by 바람의종
    Views 12892 

    디귿불규칙용언

  21. No Image 03Aug
    by 바람의종
    2010/08/03 by 바람의종
    Views 12882 

    감질나다

  22. No Image 29Sep
    by 바람의종
    2007/09/29 by 바람의종
    Views 12878 

    ‘기쁘다’와 ‘즐겁다’

  23. No Image 21Jul
    by 바람의종
    2010/07/21 by 바람의종
    Views 12877 

    작다와 적다

  24.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10/03/16 by 바람의종
    Views 12873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25.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12/02/01 by 바람의종
    Views 12872 

    접두사 '햇-, 숫-, 맨-'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