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13 11:22

아언각비

조회 수 1142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언각비

한숨 몰아쉬기 쉽지 않을 만큼 더운 날이 이어진다. ‘우리말 나들이’ 프로그램 첫 촬영 날도 요즘처럼 푹푹 찌는 날씨였다. 한여름 사내방송으로 시작해 그해 말 시청자를 만나기 시작한 ‘우리말 나들이’가 올해로 15돌을 맞는다. 방송 프로그램 이전에도 ‘우리말 나들이’는 있었다. 1992년 10월 한글날에 즈음해 16절 갱지에 찍어낸 사내 유인물 ‘우리말 나들이’이다. 종이 규격을 A4, B4로 따지기 전이니 꽤나 오랜 옛일 같지만 기껏해야 20년 전 일이다. ‘우리말 나들이’ 프로그램을 만들 당시의 기획 의도는 ‘틀린 우리말을 바로잡아 제 뜻 살려 널리 알리기 위한’ 것이다.

약 200년 전 조선에도 ‘우리말 나들이’가 있었다. 제목의 뜻이 ‘정확하고 합리적인 말로 이치에 맞지 않는 잘못된 말을 깨닫는다’인 <아언각비>(雅言覺非)가 그것이다. 이 책은 ‘조선 정조 때 정약용이 지은 어원 연구서로 당시 널리 쓰이고 있는 말과 글 가운데 잘못 쓰이거나 어원이 불확실한 것을 골라 고증을 통해 뜻, 어원, 쓰임새 등을 설명한 책’(다음국어사전)으로 말의 어원과 변천도 밝혀 놓았다. 이 책을 뜯어보며 무릎을 친 항목은 이런 것들이다. ‘족(足)은 발이라 말하는데, 사람과 소가 같지 않다’(사람의 것은 발, 소의 것은 족), ‘우리나라 말을 살펴보면 밀(蜜, 꿀)을 약(藥)이라 이른다. 그래서 밀과(蜜果)를 약과(藥果)라고 한다’. 이처럼 사람의 발을 ‘족’이라 하면 그를 낮잡아 대하는 것이 되고, 약과에는 ‘약’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을 시원하게 밝혀주고 있다.

유배가 끝난 뒤 늘그막에 접어든 정약용이 <아언각비>를 펴낸 이유는 책 서문에 잘 드러난다. ‘배움이란 깨닫는 것이고, 잘못된 점을 깨닫는 것은 정확하고 합리적인 말에서 비롯하기 때문이다’─배움의 기본은 말뜻 제대로 밝혀 쓰는 것에서 시작한다는 가르침이다. 오늘은 음력 6월16일, 정약용의 탄생일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7554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898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8Mar
    by 바람의종
    2010/03/08 by 바람의종
    Views 9850 

    아우라

  5. No Image 13Aug
    by 바람의종
    2012/08/13 by 바람의종
    Views 11427 

    아언각비

  6. No Image 17May
    by 바람의종
    2010/05/17 by 바람의종
    Views 11577 

    아양

  7. No Image 31Jan
    by 바람의종
    2008/01/31 by 바람의종
    Views 7485 

    아시저녁·아시잠

  8. 아슴찮아라, 참!

  9.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10/01/22 by 바람의종
    Views 9860 

    아스팔트와 아부라

  10. No Image 15Dec
    by 바람의종
    2007/12/15 by 바람의종
    Views 7422 

    아수라장

  11. No Image 30Jul
    by 바람의종
    2007/07/30 by 바람의종
    Views 8524 

    아성

  12. 아사리판 / 한용운

  13. No Image 14Dec
    by 바람의종
    2007/12/14 by 바람의종
    Views 7355 

    아비규환

  14. No Image 10May
    by 바람의종
    2010/05/10 by 바람의종
    Views 8105 

    아무럼 / 아무렴

  15. No Image 30Jan
    by 바람의종
    2011/01/30 by 바람의종
    Views 12741 

    아무개

  16. No Image 08Oct
    by 바람의종
    2009/10/08 by 바람의종
    Views 8951 

    아무, 누구

  17. No Image 05May
    by 風文
    2020/05/05 by 風文
    Views 748 

    아무 - 누구

  18. No Image 20Feb
    by 바람의종
    2008/02/20 by 바람의종
    Views 7948 

    아메리카 토박이말

  19. No Image 01Dec
    by 바람의종
    2009/12/01 by 바람의종
    Views 10884 

    아리아리

  20. No Image 28Jun
    by 바람의종
    2008/06/28 by 바람의종
    Views 6136 

    아름다운 말

  21. No Image 06Feb
    by 바람의종
    2010/02/06 by 바람의종
    Views 8007 

    아르바이트

  22.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7419 

    아랍말과 히브리말

  23.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8/06/09 by 바람의종
    Views 4847 

    아들아, 딸아?

  24. No Image 28Oct
    by 바람의종
    2009/10/28 by 바람의종
    Views 11437 

    아다시피, 아시다시피, 알다시피

  25.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08/01/21 by 바람의종
    Views 11741 

    아닌 밤중에 홍두깨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