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13 11:22

아언각비

조회 수 1143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언각비

한숨 몰아쉬기 쉽지 않을 만큼 더운 날이 이어진다. ‘우리말 나들이’ 프로그램 첫 촬영 날도 요즘처럼 푹푹 찌는 날씨였다. 한여름 사내방송으로 시작해 그해 말 시청자를 만나기 시작한 ‘우리말 나들이’가 올해로 15돌을 맞는다. 방송 프로그램 이전에도 ‘우리말 나들이’는 있었다. 1992년 10월 한글날에 즈음해 16절 갱지에 찍어낸 사내 유인물 ‘우리말 나들이’이다. 종이 규격을 A4, B4로 따지기 전이니 꽤나 오랜 옛일 같지만 기껏해야 20년 전 일이다. ‘우리말 나들이’ 프로그램을 만들 당시의 기획 의도는 ‘틀린 우리말을 바로잡아 제 뜻 살려 널리 알리기 위한’ 것이다.

약 200년 전 조선에도 ‘우리말 나들이’가 있었다. 제목의 뜻이 ‘정확하고 합리적인 말로 이치에 맞지 않는 잘못된 말을 깨닫는다’인 <아언각비>(雅言覺非)가 그것이다. 이 책은 ‘조선 정조 때 정약용이 지은 어원 연구서로 당시 널리 쓰이고 있는 말과 글 가운데 잘못 쓰이거나 어원이 불확실한 것을 골라 고증을 통해 뜻, 어원, 쓰임새 등을 설명한 책’(다음국어사전)으로 말의 어원과 변천도 밝혀 놓았다. 이 책을 뜯어보며 무릎을 친 항목은 이런 것들이다. ‘족(足)은 발이라 말하는데, 사람과 소가 같지 않다’(사람의 것은 발, 소의 것은 족), ‘우리나라 말을 살펴보면 밀(蜜, 꿀)을 약(藥)이라 이른다. 그래서 밀과(蜜果)를 약과(藥果)라고 한다’. 이처럼 사람의 발을 ‘족’이라 하면 그를 낮잡아 대하는 것이 되고, 약과에는 ‘약’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을 시원하게 밝혀주고 있다.

유배가 끝난 뒤 늘그막에 접어든 정약용이 <아언각비>를 펴낸 이유는 책 서문에 잘 드러난다. ‘배움이란 깨닫는 것이고, 잘못된 점을 깨닫는 것은 정확하고 합리적인 말에서 비롯하기 때문이다’─배움의 기본은 말뜻 제대로 밝혀 쓰는 것에서 시작한다는 가르침이다. 오늘은 음력 6월16일, 정약용의 탄생일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921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5486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30Aug
    by 바람의종
    2012/08/30 by 바람의종
    Views 10052 

    성급, 조급

  5. No Image 30Aug
    by 바람의종
    2012/08/30 by 바람의종
    Views 10880 

    화성돈

  6. No Image 23Aug
    by 바람의종
    2012/08/23 by 바람의종
    Views 15014 

    으레, 으례, 의례

  7. No Image 23Aug
    by 바람의종
    2012/08/23 by 바람의종
    Views 20955 

    나무랬다, 나무랐다 / 바람, 바램

  8. No Image 21Aug
    by 바람의종
    2012/08/21 by 바람의종
    Views 8958 

    과욋돈

  9. No Image 21Aug
    by 바람의종
    2012/08/21 by 바람의종
    Views 7080 

    몸 달은

  10. No Image 20Aug
    by 바람의종
    2012/08/20 by 바람의종
    Views 12376 

    묫자리 / 묏자리

  11. No Image 20Aug
    by 바람의종
    2012/08/20 by 바람의종
    Views 9301 

    바람

  12. No Image 17Aug
    by 바람의종
    2012/08/17 by 바람의종
    Views 9142 

    가이없는 은혜

  13. No Image 17Aug
    by 바람의종
    2012/08/17 by 바람의종
    Views 11596 

    스포츠 중계

  14. No Image 16Aug
    by 바람의종
    2012/08/16 by 바람의종
    Views 20753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15. No Image 16Aug
    by 바람의종
    2012/08/16 by 바람의종
    Views 14981 

    애저녁에 / 애초에

  16. No Image 14Aug
    by 바람의종
    2012/08/14 by 바람의종
    Views 32947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17. No Image 14Aug
    by 바람의종
    2012/08/14 by 바람의종
    Views 10558 

    날개쭉지

  18. No Image 13Aug
    by 바람의종
    2012/08/13 by 바람의종
    Views 11918 

    뇌졸중 / 뇌졸증

  19. No Image 13Aug
    by 바람의종
    2012/08/13 by 바람의종
    Views 12252 

    마린보이

  20. No Image 13Aug
    by 바람의종
    2012/08/13 by 바람의종
    Views 11435 

    아언각비

  21. No Image 01Aug
    by 바람의종
    2012/08/01 by 바람의종
    Views 8986 

    불은 라면

  22. No Image 01Aug
    by 바람의종
    2012/08/01 by 바람의종
    Views 8212 

    갸냘픈

  23. No Image 27Jul
    by 바람의종
    2012/07/27 by 바람의종
    Views 13969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24. No Image 27Jul
    by 바람의종
    2012/07/27 by 바람의종
    Views 9257 

  25. No Image 25Jul
    by 바람의종
    2012/07/25 by 바람의종
    Views 30595 

    양수겹장 / 양수겸장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