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7.13 16:03

일제피해여성

조회 수 1112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일제피해여성

“‘대동아전쟁’ 때 ‘국민학교’를 다녔고, 해방 이후에 ‘동란’을 겪고 나니까 ‘5·16 혁명’이 일어나며 세상이 바뀌는 걸 경험했으니 참 오래 살았지요. 현역 기자 시절 맞닥뜨린 ‘광주사태’ 때는 혼란스러웠고….” 얼마 전 만난 팔순의 한 언론계 선배가 혼잣말처럼 회고한 내용이다. 말 그대로 ‘격변의 시대’를 살아온 그가 무심히 내뱉는 말 속엔 경험할 당시의 ‘시대정신’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지금 시대에 맞는 공식 표현은 ‘태평양전쟁’, ‘한국전쟁’, ‘5·16 군사정변(쿠데타)’, ‘5·18 광주민주화운동’이다.

역사인식의 귀결은 개념과 용어의 명명으로 귀착되곤 한다. 사태, 항쟁, 반란, 폭동, 운동, 혁명…. 이 가운데 어느 것으로 호명되고 이해되느냐에 따라 한 사건과 그 사건에 연관된 사람들에 대한 사후적인 이해와 평가는 판이해진다.(<역사용어 바로쓰기> 179쪽) ‘한일합방’은 무력에 의한 침탈이니 ‘-병탄’으로, ‘을사조약’은 억지로 맺은 조약이니 ‘-늑약’으로 하자는 주장은 그래서 타당하다. 이런 논의에서 빠지지 않는 게 ‘종군위안부’, ‘정신대’이다.

최근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위안부’는 ‘강제된 성적 노예’로 표현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일본군 위안부=강요된 성노예’ 미국 인식 맞다”(ㄷ일보), “‘종군위안부’ 아니라 ‘강제적 성노예’가 맞다”(ㅅ신문)처럼 사설에도 등장하면서 이 표현을 두고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정부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피해 당사자들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해 ‘일본군 위안부’라 하지만 번역할 경우 의미를 제대로 담기 어렵기에 영어로 ‘성적 노예’라고 하는 것을 용인하는 것”이라 설명한다. 불현듯 낮지만 단호했던 한 시청자의 목소리가 떠오른다. “‘종군’, ‘위안부’, ‘(결사대의 뜻인)정신대’ 그 무엇도 당시 피해자의 실체를 담아내지 못한다. 일본제국주의에 강제로 희생된 분들이니 ‘일제피해여성’이라 하면 어떨까.”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 '일제강점기피해여성' 이 더 낫다고 본다. 제국주의 뒤엔 항상 강점이 들어가야한다고 주장한다. - 윤영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3363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10081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4745
    read more
  4. 시도하다

    Date2012.07.23 By바람의종 Views8608
    Read More
  5. 해장

    Date2012.07.23 By바람의종 Views13624
    Read More
  6. 정계 / 정가

    Date2012.07.16 By바람의종 Views9381
    Read More
  7. 가능한 / 가능한 한

    Date2012.07.16 By바람의종 Views10517
    Read More
  8. 똔똔 / 도긴 개긴

    Date2012.07.13 By바람의종 Views15700
    Read More
  9. 일제피해여성

    Date2012.07.13 By바람의종 Views11120
    Read More
  10. 벗기다 / 베끼다

    Date2012.07.06 By바람의종 Views12719
    Read More
  11. 다대기, 닭도리탕

    Date2012.07.06 By바람의종 Views13143
    Read More
  12. 폭염

    Date2012.07.05 By바람의종 Views8884
    Read More
  13. 회피 / 기피

    Date2012.07.05 By바람의종 Views12016
    Read More
  14.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Date2012.07.04 By바람의종 Views16886
    Read More
  15. 표지 / 표시

    Date2012.07.04 By바람의종 Views11394
    Read More
  16. 무색케, 도입케 / 무색게, 도입게

    Date2012.07.03 By바람의종 Views8675
    Read More
  17. 나까채다, 나꿔채다, 낚아채다

    Date2012.07.03 By바람의종 Views11450
    Read More
  18. 복구 / 복원

    Date2012.07.02 By바람의종 Views7593
    Read More
  19. 베짱이, 배짱이 / 째째하다, 쩨제하다

    Date2012.07.02 By바람의종 Views19885
    Read More
  20. 대비, 대처

    Date2012.06.26 By바람의종 Views7368
    Read More
  21. 엘레지, 사리

    Date2012.06.26 By바람의종 Views8888
    Read More
  22. 집중호우 -> 장대비

    Date2012.06.22 By바람의종 Views9552
    Read More
  23. 낱말장

    Date2012.06.22 By바람의종 Views9591
    Read More
  24. 주워섬기다

    Date2012.06.20 By바람의종 Views9419
    Read More
  25. 불쾌한 반응

    Date2012.06.20 By바람의종 Views947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