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7.13 16:03

일제피해여성

조회 수 1111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일제피해여성

“‘대동아전쟁’ 때 ‘국민학교’를 다녔고, 해방 이후에 ‘동란’을 겪고 나니까 ‘5·16 혁명’이 일어나며 세상이 바뀌는 걸 경험했으니 참 오래 살았지요. 현역 기자 시절 맞닥뜨린 ‘광주사태’ 때는 혼란스러웠고….” 얼마 전 만난 팔순의 한 언론계 선배가 혼잣말처럼 회고한 내용이다. 말 그대로 ‘격변의 시대’를 살아온 그가 무심히 내뱉는 말 속엔 경험할 당시의 ‘시대정신’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지금 시대에 맞는 공식 표현은 ‘태평양전쟁’, ‘한국전쟁’, ‘5·16 군사정변(쿠데타)’, ‘5·18 광주민주화운동’이다.

역사인식의 귀결은 개념과 용어의 명명으로 귀착되곤 한다. 사태, 항쟁, 반란, 폭동, 운동, 혁명…. 이 가운데 어느 것으로 호명되고 이해되느냐에 따라 한 사건과 그 사건에 연관된 사람들에 대한 사후적인 이해와 평가는 판이해진다.(<역사용어 바로쓰기> 179쪽) ‘한일합방’은 무력에 의한 침탈이니 ‘-병탄’으로, ‘을사조약’은 억지로 맺은 조약이니 ‘-늑약’으로 하자는 주장은 그래서 타당하다. 이런 논의에서 빠지지 않는 게 ‘종군위안부’, ‘정신대’이다.

최근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위안부’는 ‘강제된 성적 노예’로 표현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일본군 위안부=강요된 성노예’ 미국 인식 맞다”(ㄷ일보), “‘종군위안부’ 아니라 ‘강제적 성노예’가 맞다”(ㅅ신문)처럼 사설에도 등장하면서 이 표현을 두고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정부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피해 당사자들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해 ‘일본군 위안부’라 하지만 번역할 경우 의미를 제대로 담기 어렵기에 영어로 ‘성적 노예’라고 하는 것을 용인하는 것”이라 설명한다. 불현듯 낮지만 단호했던 한 시청자의 목소리가 떠오른다. “‘종군’, ‘위안부’, ‘(결사대의 뜻인)정신대’ 그 무엇도 당시 피해자의 실체를 담아내지 못한다. 일본제국주의에 강제로 희생된 분들이니 ‘일제피해여성’이라 하면 어떨까.”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 '일제강점기피해여성' 이 더 낫다고 본다. 제국주의 뒤엔 항상 강점이 들어가야한다고 주장한다. - 윤영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3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11
2710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512
2709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80
2708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704
2707 잇단, 잇달아 바람의종 2009.07.29 6984
2706 입추의 여지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8 13962
2705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72
2704 입장(立場)을 바꿔보자 바람의종 2008.04.26 7024
2703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2020
2702 입에 발린 소리 바람의종 2008.01.28 17653
2701 입소문 바람의종 2010.03.04 7829
2700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492
2699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바람의종 2008.05.31 9719
2698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72
2697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72
2696 임·님 바람의종 2008.03.24 10919
2695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1406
2694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647
2693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614
2692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754
» 일제피해여성 바람의종 2012.07.13 11116
2690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413
2689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