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5.11 14:40

간절기

조회 수 1231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간절기

지난 봄날의 하루가 떠오른다. 옷장을 열어 본 아내가 배시시 웃으며 ‘입을 옷이 없다’고 했던 날이다. 딱히 답할 말을 찾지 못해 멋쩍게 웃는 나와 달리 중학생 딸은 그 뜻 알겠다는 듯 까르르 웃었다. 이 얘기를 들은 갓 스물의 여학생들은 ‘여자는 철이 바뀔 때마다 입을 옷이 없는 게 맞다’며 깔깔 웃는다. 남자들은 모르는 ‘여성 공감’의 힘이다. 한마디로 ‘입을 옷이 없다’는 뜻은 ‘입을만한 옷’이 없다는 뜻이니, 곧 ‘(맘에 드는) 새 옷이 없다’는 뜻이라는 것이다.

봄의 문턱을 넘어서나 싶더니 초여름 날씨가 이어진다. 환절기가 짧아진 것이다. 환절기(換節期)는 뜻 그대로 ‘철이 바뀌는 시기’이다. 철이 바뀔 즈음에는 큰 일교차로 면역력이 떨어지기에 건강상품이 인기를 끈다. 옷장 열어보며 한숨 쉬는 여성들을 위한 패션상품도 쏟아져 나온다. ‘환절기 건강’, ‘간절기 패션’처럼 같은 때를 두고 표현이 달라지기도 한다. 인터넷 검색 결과를 보면 쓰임의 차이가 또렷해진다. ‘환절기 건강’(약 400만건)-‘간절기 건강’(약 70만건), ‘환절기 패션’(약 100만건)-‘간절기 패션’(약 330만건)이다.(구글 검색) ‘간절기 패션’(약 1880건), ‘환절기 패션’(약 880건)처럼 뉴스 검색 결과도 다르지 않다.(네이버 검색)

1990년대에 등장한 ‘간절기’는 2000년 국어원 신어자료집에 오르면서 세력을 얻는다. 뜻풀이는 ‘한 계절이 끝나고 다른 계절이 올 무렵의 그 사이 기간’이니 ‘환절기’와 다르지 않다. ‘간절기’는 일본어 ‘셋키노 아이다’(節氣の間, 절기의 사이)의 ‘간’을 앞에 앉혀 만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절기(節氣)는 ‘계절 바뀜’과 무관한 것이니 ‘간절기’를 우리말답게 쓴다면 ‘주로 패션업계에서’처럼 쓰임을 명시하고 한자(間節期)도 밝혀야 한다. 수다한 동의어와 유의어는 말글살이를 풍요롭게 하기도 하지만 혼란을 불러오기도 하기 때문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2567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9208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3963
    read more
  4. 어깨를 걸고 나란히

    Date2009.12.01 By바람의종 Views12292
    Read More
  5. 몰래 입국, 몰래 출국

    Date2010.04.19 By바람의종 Views12288
    Read More
  6. 하룻강아지

    Date2010.03.22 By바람의종 Views12285
    Read More
  7. 클래식

    Date2010.03.17 By바람의종 Views12280
    Read More
  8. 마린보이

    Date2012.08.13 By바람의종 Views12275
    Read More
  9. 혈혈단신

    Date2010.07.17 By바람의종 Views12272
    Read More
  10. 걸판지게 놀다

    Date2012.05.09 By바람의종 Views12271
    Read More
  11. 자기 개발 / 자기 계발

    Date2011.11.24 By바람의종 Views12261
    Read More
  12. 저지

    Date2010.04.18 By바람의종 Views12259
    Read More
  13. 북녘말

    Date2012.10.04 By바람의종 Views12257
    Read More
  14. 내부치다, 내붙이다

    Date2010.11.05 By바람의종 Views12254
    Read More
  15.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Date2010.06.01 By바람의종 Views12240
    Read More
  16. 휘파람새

    Date2009.09.03 By바람의종 Views12237
    Read More
  17. 궂기다

    Date2010.03.16 By바람의종 Views12234
    Read More
  18. ~다 라고 말했다

    Date2010.03.15 By바람의종 Views12233
    Read More
  19.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Date2009.05.09 By바람의종 Views12232
    Read More
  20. 걷잡아 / 겉잡아

    Date2010.03.19 By바람의종 Views12231
    Read More
  21.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Date2010.10.16 By바람의종 Views12221
    Read More
  22. 표식/표지, 성력/생력

    Date2010.09.03 By바람의종 Views12217
    Read More
  23. 녹녹지 않다

    Date2010.03.30 By바람의종 Views12203
    Read More
  24. 쿠사리

    Date2010.04.26 By바람의종 Views12196
    Read More
  25. 지양과 지향

    Date2010.08.07 By바람의종 Views1218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