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4.30 15:38

쇠고기

조회 수 1001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쇠고기

각득기소(各得其所)라는 말이 있다. 사회 구성원 하나하나가 자신에게 어울리는 자리에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쓰일 때가 많으니 적재적소(適材適所)와 비슷한 뜻이기도 하다. 방송사의 피디(PD)는 피디 일을, 아나운서는 아나운서의 일을 해야 한다. 기자와 카메라 감독, 세트 디자이너와 시지(CG) 어루만지는 이들은 자신의 역할을 해야 한다. 그게 ‘각자의 몫’이다.

근데 요즘 제 몫을 제 뜻대로 제대로 못하는 이들이 있어 안타깝다. 통신사 기자는 한데 나와 농성하고 있고, 방송사 피디와 카메라 감독과 시지 디자이너는 거리를 누비며 유인물을 뿌리고 있다. <문화방송> 노조는 파업 100일에 즈음하여 ‘자선 주점’을 준비하고 있고, 취재처에 발 들이지 못하는 <국민일보> 기자는 생활고 해결을 위해 쇠고기를 팔고 있다.

‘국민일보 파업 기자들의 횡성 가는 길’(<한겨레> 4월21일치)을 읽고 난 뒤 ‘어쩌면 아나운서도 푸줏간을 차려야 할지 모른다’는 생각에 고기 부위 이름을 떠올렸다. 부위를 떠올리며 하나씩 곱씹어 보니 ‘이름 참 맛있게 지었다’ 싶었다. 등심은 ‘등-심’이고, 안심은 ‘안(內)-심’이다. 소 등뼈에서 발라낸 연한 고기, 소갈비 안쪽에 붙은 살이라 각각 그렇게 부른다. 우둔살은 소 둔부에서 베어낸 것이니 쇠볼깃살이다. 방망이처럼 기다랗게 소 볼기에 붙어 있는 살코기는 홍두깨살이다. 마치 옷감을 감아 다듬질할 때 쓰던 홍두깨 방망이 모양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양지머리뼈 한복판에 붙은 차돌박이는 희고 단단함이 마치 차돌 같아 그렇게 부른다. ‘다리 사이’를 뜻하는 ‘샅’에서 온 게 ‘샅에 고기’ 곧 사태이다. 사태는 다시 앞사태, 뒤사태로 나눠 부르는데, 아롱사태처럼 야릇한 이름도 있다. 뭉치사태 속에서 아롱아롱하게 보이기에 아롱사태가 되었단다. 핏물 밴 쇠고기에서도 아롱거림을 찾아낸 조상들의 안목이 놀랍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317
2138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4931
2137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40
2136 영부인 바람의종 2008.12.08 8248
2135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692
2134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891
2133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183
2132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10
2131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264
2130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458
2129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01
2128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473
2127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399
2126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575
2125 두리뭉실 바람의종 2008.11.29 10465
2124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768
2123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15
2122 아니오, 아니요 바람의종 2008.11.27 6211
2121 띄다, 띠다 바람의종 2008.11.25 11760
2120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26
2119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757
2118 옛부터, 옛스럽다 바람의종 2008.11.24 8763
2117 명란젓, 창란젓, 토하젓, 토화젓 바람의종 2008.11.24 111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