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4.19 11:15

광안리

조회 수 1232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광안리

엊그제 뜬금없는 광안리 바람이 불었다. 모처럼 한자리에 모여 밥을 먹던 아나운서들 사이에서 일어난 바람이다.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2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으로 유명한 곳의 발음이 [광:알리]냐 [광:안니]냐 하는 설왕설래가 진원이었다. ‘[광:알리]가 맞다’는 쪽과 ‘[광:안니]라 해야 한다’는 쪽이 팽팽히 맞섰다. 부산 사람에게 급전 띄워 물으니 “(실제 발음은)[강알리]가 우세하다”는 뜻밖의 답을 하기도 했다. 관련 규정을 뒤적여 봐도 ‘이것도 맞고 저것 또한 맞을 수 있다’는 어정쩡한 규정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었다.

 [광:알리]의 근거는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는 표준발음법 5장 20항에 있다. ‘광안리(해수욕장)’의 “로마자 표기법이 ‘Gwangalli’이므로, [광알리]로 볼 수 있다”는 국어원 누리집의 자료도 [광:알리]에 힘을 실어준다. 그렇다고 [광:안니]가 틀렸다고 볼 수는 없다. [ㄹㄹ]로 발음되지 않고 [ㄴㄴ]으로 발음되는 보기가 있기 때문이다. 의견란[의:견난], 이원론[이:원논], 공권력[공꿘녁] 같은 것들이다. 이런 경우는 ‘실제 발음을 고려하여 정한 것’이며 ‘개별적으로 사전에 발음을 표시해야 한다’는 관련 규정에 따른 것이다.(표준발음법 20항 ‘다만’ 항목) 이 설명은 참으로 모호하다. ‘당인리’, ‘탄천로’ 따위의 발음을 따로 다루어 표시하지 않으면 [당일리], [탄철로]처럼 [ㄹㄹ]이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발음을 반영하려면 “‘리’(里), ‘로’(路), ‘릉’(陵)처럼 뜻이 분명한 접미사가 붙는 복합어는 [ㄴㄴ]으로 발음한다”를 관련 규정에 담으면 어떨까 싶다.

 그나저나 뜬금없는 광안리 바람은 왜 불었을까. 오늘 저녁 부산역 광장에서 열리는 언론노조 부산지역 집중집회 논의를 하던 중에 나온 얘기였다. 방송인들은 스튜디오를 떠나 있어도 말글살이에 대한 생각의 끈은 놓을 수 없는 모양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1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63
2842 그닥 바람의종 2008.03.11 6970
2841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17
2840 그라모 어쩝니껴? 바람의종 2010.02.25 7339
2839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9.06.01 9435
2838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62
2837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476
2836 그러잖아도는 동작, 그렇잖아도는 상태 바람의종 2010.01.22 10714
2835 그런 식으로 / 그런식으로 바람의종 2012.09.25 13734
2834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880
2833 그르이께 어짤랑교? 바람의종 2010.03.02 6172
2832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16
2831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10
2830 그리고는, 그러고는 / 그리고 나서,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7.05 15386
2829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238
2828 그림의 떡, 그림에 떡 바람의종 2012.09.13 17315
2827 그만한 / 그만 한, 한걸음 / 한 걸음, 그만해야지 / 그만 해야지 바람의종 2010.01.22 11249
2826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67
2825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081
2824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바람의종 2010.09.04 9989
2823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14
2822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369
2821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80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