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3.27 12:49

시해 / 살해

조회 수 1012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시해 / 살해

“어떤 이유를 대더라도 씻지 못할 죄를 지었지만, 마음만은 다시 태어나 세상에 긍정적인 힘을 불어넣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살인죄로 기소된 지아무개군이 엊그제 열린 재판에서 한 최후진술의 한 대목이다. ‘씻지 못할 죄’는 어머니를 죽이고 시신을 8개월 동안 방치한 것일 터이다. 지군은 눈물을 보였고, 그의 아버지는 “절망에 빠진 아들 옆에 있어주지 못한 제 잘못”이라며 통곡했다는 내용을 전한 기사는 ‘친모(모친, 엄마, 어머니, 母) 살해’ 등의 표현으로 소식을 전했다. 이런 표현을 보면서 지난달 한 지상파 프로그램에 출연한 가수가 ‘10·26 사태(고 박정희 대통령 시해 사건) 이후 정신병원에 감금당한 적이 있다고 털어놨다’(ㄷ일보)는 기사가 떠올랐다. 출연자가 말한 ‘10·26 사태’를 ‘대통령 시해 사건’으로 풀어주었기 때문이다.

살해는 ‘사람을 해치어 죽임’, 시해(弑害)는 ‘부모나 임금을 죽임’(표준국어대사전)이다. 살해자와 피살자의 관계에 따라 달리 표현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모친 시해’이고 ‘대통령 살해(피살)’라 해야 앞뒤가 맞는다. 10·26 당시 정부의 공식 발표는 “김(재규) 정보부장이 발사한 총탄으로 26일 저녁 7시45분 (박 대통령이) 서거하셨습니다”(김성진 당시 문공부 장관, 1979년 10월27일 오전 7시23분)로 ‘시해’는 등장하지 않는다. 이 표현은 이튿날 “계엄사 합동수사본부장 전두환 육군소장은…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의 중간수사결과를 발표했다.”(ㄱ신문)에 비로소 등장한다.

말과 글은 의사소통의 기본 수단이다. 언어는 생각의 틀이며 가치의 집이다. 오는 26일 순국 102주기를 맞는 안중근 의사의 ‘테러’를 ‘의거’로 기록하면 ‘의사’가 되고 ‘(일제에 대한) 반역’으로 표현하면 ‘반역자’가 된다. 사실을 기록으로 남길 때의 용어 선택과 표현은 그래서 중요하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6429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803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1May
    by 바람의종
    2012/05/11 by 바람의종
    Views 12118 

    간절기

  5. No Image 04May
    by 바람의종
    2012/05/04 by 바람의종
    Views 11961 

    삼겹살의 나이

  6. No Image 30Apr
    by 바람의종
    2012/04/30 by 바람의종
    Views 10007 

    쇠고기

  7. No Image 20Apr
    by 바람의종
    2012/04/20 by 바람의종
    Views 11078 

    나무 이름표

  8. No Image 19Apr
    by 바람의종
    2012/04/19 by 바람의종
    Views 11616 

    현수막, 펼침막

  9. No Image 19Apr
    by 바람의종
    2012/04/19 by 바람의종
    Views 12528 

    네가지, 싸가지

  10. No Image 19Apr
    by 바람의종
    2012/04/19 by 바람의종
    Views 12320 

    광안리

  11.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12/03/27 by 바람의종
    Views 10127 

    시해 / 살해

  12.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12/03/27 by 바람의종
    Views 11463 

    표준 언어 예절

  13.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12/03/27 by 바람의종
    Views 11148 

    성+ 이름

  14. No Image 02Mar
    by 바람의종
    2012/03/02 by 바람의종
    Views 12265 

    의사와 열사

  15. No Image 02Mar
    by 바람의종
    2012/03/02 by 바람의종
    Views 11225 

    마탄의 사수

  16. No Image 02Mar
    by 바람의종
    2012/03/02 by 바람의종
    Views 8537 

    담다 / 담그다

  17. No Image 28Feb
    by 바람의종
    2012/02/28 by 바람의종
    Views 12118 

    외래어 / 외국어

  18. No Image 28Feb
    by 바람의종
    2012/02/28 by 바람의종
    Views 9518 

    태어나다

  19. No Image 23Jan
    by 바람의종
    2012/01/23 by 바람의종
    Views 11201 

    용수철

  20.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12/01/19 by 바람의종
    Views 10315 

    다른그림찾기

  21. No Image 06Jan
    by 바람의종
    2012/01/06 by 바람의종
    Views 10711 

    '연륙교'의 발음은?

  22. No Image 06Jan
    by 바람의종
    2012/01/06 by 바람의종
    Views 10489 

    내비게이션

  23. No Image 26Dec
    by 바람의종
    2011/12/26 by 바람의종
    Views 13421 

    X-mas

  24. No Image 22Dec
    by 바람의종
    2011/12/22 by 바람의종
    Views 13318 

    ‘팜므파말’

  25. No Image 04Dec
    by 바람의종
    2011/12/04 by 바람의종
    Views 10243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