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3.27 12:47

표준 언어 예절

조회 수 1169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표준 언어 예절

국립국어원이 ‘엄마·아빠’를 비롯한 호칭어, 지칭어, 경어법 등의 공식 기준을 담은 지침서 <표준 언어 예절>을 펴냈다. 20년 전에 나온 <표준 화법 해설>에 시대적 변화 등을 보태고 현실에 맞게 다듬어 개정한 것이다. <표준 언어 예절>은 국어 사용 실태 조사와 자문위원 회의, 공개 토론회를 거치며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뒤 나온 결과물이다. 이전 제목인 ‘화법’(말하는 방법)도 내용에 맞추어 ‘언어 예절’로 바꾸어 출간한 <표준 언어 예절>을 보는 언론과 언중의 반응은 어떨까.

‘전통 규범을 존중하면서도 변화된 현실을 대폭 수용했다’(ㄱ신문), ‘가정과 직장 내 호칭과 지칭, 혼례·상례·축하·위로 등과 관련된 인사말 서식 등을 상세히 설명한다’(ㅅ일보), ‘바뀐 언어 현실에 부응한 점이 눈에 띈다. 자녀 수가 적어 사촌 간 교류가 긴밀해진 상황을 감안해 조부모·손주, 사촌 간 언어 예절을 신설한 대목도 의미있다’(ㅈ일보), ‘언어 사용의 빠른 변화에 비해 국가의 공식 대응이 늦은 감이 없지 않다’(한겨레)에서 알 수 있듯이 언론의 반응은 대체로 호의적이다. 국립국어원 누리집에 나타난 자료 요청 건수와 “<표준 언어 예절> 발간 이후 업무가 마비될 만큼 전화가 폭주했다”는 관계자의 말로 미루어 보면 언중의 관심도 높은 편이다.

 <표준 언어 예절>은 호칭과 지칭, 경어법과 특정한 때의 인사말뿐 아니라 혼례와 장례를 비롯한 여러 경우의 서식도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전자우편 쓸 때 필요한 형식과 예절을 새롭게 담았고 ‘○○公 以老患 於自宅別世 玆以告訃’로 시작하는 한문 부고 문안은 아예 다루지 않았으며, 가로쓰기를 기본으로 제시하고 있다. ‘표준화법 보완 자문위원회’의 끝자리에서 힘을 보탠 한 사람으로서 <표준 언어 예절>이 우리 말글살이의 지침서로 널리 쓰였으면 좋겠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9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87
2820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68
2819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6272
2818 넘이·넘우 바람의종 2009.02.14 6273
2817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73
2816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79
2815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85
2814 불닭 바람의종 2009.07.13 6285
2813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290
2812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294
2811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95
2810 발발아 바람의종 2009.10.06 6301
2809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307
2808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6312
2807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318
2806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22
2805 도요새 바람의종 2009.08.29 6333
2804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334
2803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35
2802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38
2801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40
2800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342
2799 전세값, 삭월세 바람의종 2008.11.11 63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