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24 12:47

퍼센트포인트

조회 수 1332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퍼센트포인트

서울시장 선거가 마무리되었다.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는 186만7880표를, 무소속 박원순 후보는 215만8476표를 얻었다. 두 후보의 득표 차이는 29만596표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두 후보의 최종 득표율은 각각 46.21퍼센트와 53.40퍼센트로 지상파 방송 3사의 출구조사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 결과 박원순 후보는 서울시장이 되었다. 새삼 개표 결과를 정리하며 뒷북을 치는 까닭은 퍼센트, 퍼센트포인트 차이를 짚어보기 위해서이다.

퍼센트는 ‘백분율을 나타내는 단위로 기호는 %’이고 퍼센트포인트는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가 이전 수치에 비해 증가하거나 감소한 양’(표준국어대사전)이다. 임금 인상률이 10%에서 15%로 늘었다면, 퍼센트포인트로는 (불과) 5퍼센트포인트가 늘어난 것이지만 퍼센트로는 (무려) 50퍼센트나 증가한 것이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 나선 두 후보의 득표율 차이는 53.40%에서 46.21%를 뺀 7.19%포인트이고 박원순 후보는 나경원 후보보다 15.56% 표를 더 얻었다. 이렇듯 여론조사와 물가 상승률 따위의 통계 수치를 다룰 때 헷갈리면 안 되는 게 퍼센트와 퍼센트포인트이다. 셈법에 따라 ‘체감 효과’가 달라지기도 하고.

퍼센트와 같은 뜻으로 쓰는 ‘프로’는 어찌 다루어야 할까. 이 말은 네덜란드어 ‘프로센트’(Procent)가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표현이다. 일본이 개항 초기에 서양문물을 받아들인 주요 창구는 네덜란드였고 이 나라의 한자 음역어인 화란(和蘭)에서 들어온 학문인 난학(蘭學)은 곧 서양학문을 뜻했다. 이 땅에 ‘프로’를 넘겨준 일본은 요즘 ‘프로’보다 ‘퍼센트’(パ─セント)를 많이 쓴다.

백분율과 한뜻인 퍼센티지는 외래어로 인정하지만 같은 뜻으로 쓰고 있는 ‘프로티지(프로테이지)’는 바르지 않은 표현이다. 마일리지(mileage)처럼 무엇의 ‘양’을 나타내는 영어 접미사 ‘-age’를 네덜란드어가 어원인 ‘프로’에 붙여 만든 얼치기 말이기 때문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5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0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84
3194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24
3193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26
3192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326
3191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28
3190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29
3189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31
3188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332
3187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33
3186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334
318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34
3184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337
3183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38
3182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40
3181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340
3180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342
3179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347
3178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48
3177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349
3176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350
3175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351
3174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353
3173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3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