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24 12:47

퍼센트포인트

조회 수 1340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퍼센트포인트

서울시장 선거가 마무리되었다.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는 186만7880표를, 무소속 박원순 후보는 215만8476표를 얻었다. 두 후보의 득표 차이는 29만596표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두 후보의 최종 득표율은 각각 46.21퍼센트와 53.40퍼센트로 지상파 방송 3사의 출구조사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 결과 박원순 후보는 서울시장이 되었다. 새삼 개표 결과를 정리하며 뒷북을 치는 까닭은 퍼센트, 퍼센트포인트 차이를 짚어보기 위해서이다.

퍼센트는 ‘백분율을 나타내는 단위로 기호는 %’이고 퍼센트포인트는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가 이전 수치에 비해 증가하거나 감소한 양’(표준국어대사전)이다. 임금 인상률이 10%에서 15%로 늘었다면, 퍼센트포인트로는 (불과) 5퍼센트포인트가 늘어난 것이지만 퍼센트로는 (무려) 50퍼센트나 증가한 것이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 나선 두 후보의 득표율 차이는 53.40%에서 46.21%를 뺀 7.19%포인트이고 박원순 후보는 나경원 후보보다 15.56% 표를 더 얻었다. 이렇듯 여론조사와 물가 상승률 따위의 통계 수치를 다룰 때 헷갈리면 안 되는 게 퍼센트와 퍼센트포인트이다. 셈법에 따라 ‘체감 효과’가 달라지기도 하고.

퍼센트와 같은 뜻으로 쓰는 ‘프로’는 어찌 다루어야 할까. 이 말은 네덜란드어 ‘프로센트’(Procent)가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표현이다. 일본이 개항 초기에 서양문물을 받아들인 주요 창구는 네덜란드였고 이 나라의 한자 음역어인 화란(和蘭)에서 들어온 학문인 난학(蘭學)은 곧 서양학문을 뜻했다. 이 땅에 ‘프로’를 넘겨준 일본은 요즘 ‘프로’보다 ‘퍼센트’(パ─セント)를 많이 쓴다.

백분율과 한뜻인 퍼센티지는 외래어로 인정하지만 같은 뜻으로 쓰고 있는 ‘프로티지(프로테이지)’는 바르지 않은 표현이다. 마일리지(mileage)처럼 무엇의 ‘양’을 나타내는 영어 접미사 ‘-age’를 네덜란드어가 어원인 ‘프로’에 붙여 만든 얼치기 말이기 때문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6086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7616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7Nov
    by 바람의종
    2011/11/27 by 바람의종
    Views 13884 

    앙갚음, 안갚음

  5. No Image 25Nov
    by 바람의종
    2011/11/25 by 바람의종
    Views 9730 

    사회 지도층

  6. No Image 25Nov
    by 바람의종
    2011/11/25 by 바람의종
    Views 12798 

    수능 듣기평가

  7. No Image 24Nov
    by 바람의종
    2011/11/24 by 바람의종
    Views 12314 

    처리뱅이

  8. No Image 24Nov
    by 바람의종
    2011/11/24 by 바람의종
    Views 13402 

    퍼센트포인트

  9. No Image 21Nov
    by 바람의종
    2011/11/21 by 바람의종
    Views 13274 

    호프

  10. No Image 21Nov
    by 바람의종
    2011/11/21 by 바람의종
    Views 8981 

    에프원(F1)

  11. No Image 20Nov
    by 바람의종
    2011/11/20 by 바람의종
    Views 14651 

    훈민정음 반포 565돌

  12. No Image 20Nov
    by 바람의종
    2011/11/20 by 바람의종
    Views 11151 

    시들음병/시듦병

  13. No Image 17Nov
    by 바람의종
    2011/11/17 by 바람의종
    Views 11590 

    볏과 벼슬

  14. No Image 17Nov
    by 바람의종
    2011/11/17 by 바람의종
    Views 11295 

    짜장면과 오뎅

  15. No Image 16Nov
    by 바람의종
    2011/11/16 by 바람의종
    Views 11103 

    육상대회

  16. No Image 16Nov
    by 바람의종
    2011/11/16 by 바람의종
    Views 9291 

    가(價)

  17. No Image 15Nov
    by 바람의종
    2011/11/15 by 바람의종
    Views 10744 

    자(字)

  18. No Image 15Nov
    by 바람의종
    2011/11/15 by 바람의종
    Views 8831 

    겨울올림픽

  19. No Image 14Nov
    by 바람의종
    2011/11/14 by 바람의종
    Views 10988 

    복약 설명서

  20. No Image 14Nov
    by 바람의종
    2011/11/14 by 바람의종
    Views 13346 

    도시이름

  21. No Image 13Nov
    by 바람의종
    2011/11/13 by 바람의종
    Views 12435 

    정보무늬

  22. No Image 13Nov
    by 바람의종
    2011/11/13 by 바람의종
    Views 11732 

    디엠제트

  23.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11/11/11 by 바람의종
    Views 9858 

    사리

  24.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11/11/11 by 바람의종
    Views 8924 

    ‘말밭’을 가꾸자

  25. No Image 10Nov
    by 바람의종
    2011/11/10 by 바람의종
    Views 12793 

    나들목 / 조롱목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