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20 15:23

훈민정음 반포 565돌

조회 수 1467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훈민정음 반포 565돌

한글날은 한글이 만들어진 날이 아니다. ‘한글’은 ‘큰 글, 세상에서 첫째가는 글’이란 뜻을 담아 주시경 선생이 20세기에 만든 말이다. 세종대왕이 1443년에 창제한 글자는 ‘훈민정음’이다. 훈민정음의 반포는 1446년. 3년 가까운 ‘보완기간’을 거쳐 발표된 셈이다. 한글날은 반포일을 기준으로 삼았다. 한글은 국어가 아니다. 한글은 문자의 이름이지 ‘한국어’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는 얘기이다.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과 볼리비아의 아이마라족은 고유 언어를 표기할 문자로 한글을 택했을 뿐, 한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21세기 한글은 외국으로 수출되지만 19세기 중국에서는 한글을 수입하자는 논의가 있었다. 청나라 위안스카이는 중국의 높은 문맹률이 어려운 한자 때문이라고 생각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의 문자를 중국의 소리글자로 도입하려 한 사실이 그것이다. 당시 조선 문자 도입 계획은 ‘망한 나라의 글’이라는 반대에 부닥쳐 백지화되었다고 한다. 100여년이 지난 지금 중국은 그때 결정을 후회할지 모를 일이다. 4만자가 넘는 한자의 자판 입력 속도는 한글에 비해 7배가 더 걸린다니 말이다. 음절문자인 일본 가나의 자판 입력 속도도 크게 다르지 않다.

가나는 중국 한자에 획을 빼고 보태서 만들었다. 그래서 ‘일본은 모방했고 우리는 (훈민정음, 한글을) 창조했다’고 자랑하기도 한다. 이를 두고 일본의 어떤 재야 사학자는 이렇게 받아친다. “한국은 (세계 최고 문자로 인정받는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500년 가까이 한자를 상용하며) 중국을 모방했고, 일본은 가나를 창조했다.” 듣고 보니 그렇다. 부끄러움에 뒷목까지 달아오를 만큼 정곡을 찌르는 말이다.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사들이 만든 창의적인 문자, 다른 언어권 부족도 쉽게 익혀 쓸 수 있고 중국이 한때 도입을 검토했을 만치 편리한 글자, 외국의 학자들도 한입으로 인정하는 과학적으로 우수한 한글은 우리에게 그저 자랑거리로 그치는 건 아닌지 요즘 말글살이를 돌아보며 성찰해볼 일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800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9549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1May
    by 바람의종
    2009/05/01 by 바람의종
    Views 14693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5. No Image 05Dec
    by 바람의종
    2011/12/05 by 바람의종
    Views 14687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6. No Image 09Jul
    by 바람의종
    2010/07/09 by 바람의종
    Views 14684 

    ‘가로뜨다’와 ‘소행’

  7. No Image 20Nov
    by 바람의종
    2011/11/20 by 바람의종
    Views 14679 

    훈민정음 반포 565돌

  8. No Image 07May
    by 바람의종
    2012/05/07 by 바람의종
    Views 14670 

    번번이 / 번번히

  9. No Image 17Mar
    by 바람의종
    2009/03/17 by 바람의종
    Views 14628 

    넉넉지/넉넉치

  10. No Image 29Sep
    by 風磬
    2006/09/29 by 風磬
    Views 14599 

    괄괄하다

  11. No Image 25Jul
    by 바람의종
    2010/07/25 by 바람의종
    Views 14589 

    할려고? 하려고?

  12.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10/03/24 by 바람의종
    Views 14582 

    뇌살, 뇌쇄 / 다례, 차례 / 금슬, 금술, 금실 / 귀절, 구절

  13. No Image 29Mar
    by 바람의종
    2009/03/29 by 바람의종
    Views 14580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14. No Image 30Jan
    by 바람의종
    2008/01/30 by 바람의종
    Views 14563 

    진이 빠지다

  15. No Image 01Aug
    by 바람의종
    2009/08/01 by 바람의종
    Views 14525 

    어깨 넘어, 어깨너머

  16. No Image 09Nov
    by 바람의종
    2009/11/09 by 바람의종
    Views 14507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17. No Image 23Sep
    by 바람의종
    2009/09/23 by 바람의종
    Views 14505 

    널빤지, 널판지, 골판지

  18. No Image 10Nov
    by 바람의종
    2010/11/10 by 바람의종
    Views 14503 

    담갔다, 담았다, 담그다

  19. No Image 30Nov
    by 바람의종
    2011/11/30 by 바람의종
    Views 14492 

    하꼬방

  20. No Image 25Jul
    by 바람의종
    2009/07/25 by 바람의종
    Views 14489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21. No Image 21Sep
    by 風磬
    2006/09/21 by 風磬
    Views 14454 

    고주망태

  22. No Image 19Mar
    by 바람의종
    2010/03/19 by 바람의종
    Views 14447 

    옛부터?

  23. No Image 16Nov
    by 風磬
    2006/11/16 by 風磬
    Views 14422 

    되바라지다

  24. No Image 06Aug
    by 바람의종
    2010/08/06 by 바람의종
    Views 14421 

    며늘아기, 며늘아가

  25. No Image 11Aug
    by 바람의종
    2010/08/11 by 바람의종
    Views 14417 

    십상이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