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7 21:14

볏과 벼슬

조회 수 1159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볏과 벼슬

다음에 설명하는 것은 무엇일까. 스무고개처럼 하나씩 짚어 나가면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을 만한 무엇이다. 이것은 동물성이다. 전문가들은 이것의 생김을 사물에 빗대어 구별하기도 한다. 장미처럼 생긴 게 있고, 완두콩 또는 호두 모양과 비슷한 것도 있다. 흔히 ‘관’(冠)을 붙여 장미관, 완두관이라 하는데 이 둘이 섞이면 호두관이 나온다. 이것을 가리키는 방언은 참으로 다양하다. 이것의 주인이 여염집 살림에서 빠질 수 없기에 그럴 것이다. 제주에서는 고달이라 하고, 강원도에서는 면두, 평안도에서는 멘두 또는 벤두미라고도 한다. 경상도 방언으로는 배실, 경북 일부에서는 장다루로 불리기도 한다. 같은 말로는 변두, 육관(肉冠)이 있다. 이것의 생김은 맨드라미와 많이 닮았다. 그래서 맨드라미를 계관(鷄冠)이나 계두(鷄頭)라 이르기도 한다. 김유정의 <동백꽃>, 박경리의 <토지>를 비롯해 황선미의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에도 등장하는 이것은 무엇일까.

이것은 ‘빛깔이 붉고 시울이 톱니처럼 생긴, 닭이나 새 따위의 이마 위에 세로로 붙은 살 조각’(표준국어대사전)이다. “우리 수탉을 함부로 해내는 것이다. 그것도 그냥 해내는 것이 아니라 푸드덕하고 면두를…”(<동백꽃>)의 ‘면두’(멘두, 벤두)는 앞에서 보았듯이 방언이다.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는 ‘벼슬’이라 했다. 사전은 ‘벼슬’도 방언으로 다룬다. “닭장에서 비어져 나간 한 마리가… 볏을 세우며 달아난다”(<토지>)의 ‘볏’이 이것을 제대로 가리키는 말이다.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의 원작에는 ‘볏을 가진 족속’이라는 표현처럼 ‘볏’으로 썼다.

볏은 암탉보다 수탉의 것이 돋보인다. 우람하게 솟아오른 볏에 대감마님 수염처럼 늘어뜨린 아랫볏은 수탉의 위엄을 보여주는 듯하다.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마당을 다스리는 수탉은 유난히 화려한 볏을 내세워 한껏 위세를 부린다. 하지만 이 수탉의 위엄은 오래가지 못한다. 권위의 상징인 볏이 사실은 ‘가발’이었음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볏’은 ‘벼슬’이 아니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673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817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1Oct
    by 바람의종
    2008/10/11 by 바람의종
    Views 9240 

    벌이다, 벌리다

  5. No Image 06Apr
    by 바람의종
    2010/04/06 by 바람의종
    Views 13504 

    벌이다와 벌리다

  6. No Image 03Aug
    by 바람의종
    2008/08/03 by 바람의종
    Views 6707 

  7.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08/03/27 by 바람의종
    Views 6615 

    범꼬리

  8. No Image 25Jan
    by 風文
    2022/01/25 by 風文
    Views 1367 

    법과 도덕

  9. No Image 26Dec
    by 바람의종
    2008/12/26 by 바람의종
    Views 5485 

    법대로

  10.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870 

    법률과 애국

  11. No Image 06Jul
    by 바람의종
    2012/07/06 by 바람의종
    Views 12701 

    벗기다 / 베끼다

  12. No Image 15Nov
    by 바람의종
    2008/11/15 by 바람의종
    Views 8096 

    벗어지다, 벗겨지다

  13. No Image 02Jul
    by 바람의종
    2012/07/02 by 바람의종
    Views 19820 

    베짱이, 배짱이 / 째째하다, 쩨제하다

  14. No Image 10Jul
    by 바람의종
    2010/07/10 by 바람의종
    Views 9629 

    베테랑

  15. No Image 21Dec
    by 바람의종
    2009/12/21 by 바람의종
    Views 9593 

    벤치마킹

  16. No Image 27Dec
    by 바람의종
    2007/12/27 by 바람의종
    Views 6620 

    벵갈말

  17. No Image 28Nov
    by 윤영환
    2011/11/28 by 윤영환
    Views 7284 

    벽과 담

  18.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10/01/26 by 바람의종
    Views 9574 

    벽창호

  19. No Image 30Nov
    by 風磬
    2006/11/30 by 風磬
    Views 6120 

    벽창호

  20. No Image 02Nov
    by 바람의종
    2010/11/02 by 바람의종
    Views 10958 

    변죽

  21. No Image 19Dec
    by 바람의종
    2010/12/19 by 바람의종
    Views 10080 

    변죽

  22. No Image 11Jan
    by 바람의종
    2008/01/11 by 바람의종
    Views 11415 

    변죽을 울리다

  23. 별꽃

  24. No Image 01May
    by 바람의종
    2011/05/01 by 바람의종
    Views 9568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25.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8883 

    별내와 비달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