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5 09:08

자(字)

조회 수 1075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字)

금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는다는 소식이 들린다. 멀지 않은 앞날에는 은이 금보다 더 귀할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금붙이와 은붙이, 금은보화의 가치가 높은 까닭은 사려는 이가 팔려는 이보다 많아서이다. 희귀한 것은 ‘부르는 게 값’인 게 세상 돌아가는 이치. 그래서인지 일상에는 쓸모없는 보물을 탐하다가 신세 망치는 이가 나오기도 한다. 얼마 전 서해 앞바다에 ‘해삼을 따러 갔다가’ 보물급 문화재를 도굴한 잠수부 등이 그렇다.

이들이 경찰에 붙잡히면서 알려진 보물은 ‘승자총통’. 오랜 세월 바닷속에 묻혀 있던 조선시대 화포 도굴 소식을 여러 방송은 이렇게 전했다. “이들이 도굴한 유물 중에는 임진왜란 때 사용됐던 승자총통[승자총통]도 포함돼 있었습니다”(ㅅ방송), “조선시대의 화약 무기 승자총통[-자--] 같은 보물급 문화재도 포함돼 있었습니다”(ㅇ케이블), “조선 전기 1583년에 제작된 길이 56㎝ 휴대용 화기, 승자총통[-자--]입니다”(ㅎ방송). 앵커와 취재기자만 [승자총통]이라 한 게 아니다. 방송 인터뷰에 나온 문화재 전문가도 “조선왕조실록에 보이는 승자총통[-자--]과 관련한 최초의 기사를…”이라 했으니까. “경찰이 압수한 것보다 4년 먼저 만들어진 승자총통[-짜--]입니다”(ㅁ방송)처럼 된소리로 발음한 경우도 없지 않았다. 이 총통의 이름은 ‘[승자]’일까 ‘[승짜]’일까.

조선시대 총통의 이름에는 그 크기 순서에 따라서 천(天)·지(地)·현(玄)·황(黃) 등을 붙였다. ‘하늘 천(天)이 새겨진 총통’은 ‘천자총통’(天字銃筒)이고 발음은 [천짜총통]이다. 한자 자(字)는 낱말 첫머리가 아니면 된소리가 된다. 그래서 ‘지자총통’[-짜--], ‘현자총통’[-짜--], ‘황자총통’[-짜--] 그리고 승자총통(勝字銃筒)[-짜--]이다. [승자]는 ‘이긴 사람’(勝者). 나 어릴 적 담임교사는 [고문자](高文子) 선생님이고, 갑골문자 따위의 옛글자는 [고문짜](古文字)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860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0134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4Jan
    by 바람의종
    2008/01/04 by 바람의종
    Views 7167 

    자음의 짜임새

  5.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08/01/28 by 바람의종
    Views 20861 

    자웅을 겨루다

  6.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08/01/26 by 바람의종
    Views 11773 

    자욱길

  7. No Image 12Jan
    by 風文
    2022/01/12 by 風文
    Views 1495 

    자백과 고백

  8. No Image 05May
    by 바람의종
    2010/05/05 by 바람의종
    Views 14095 

    자문을 구하다?

  9. No Image 13Aug
    by 바람의종
    2007/08/13 by 바람의종
    Views 7430 

    자문

  10. No Image 15Nov
    by 바람의종
    2008/11/15 by 바람의종
    Views 5230 

    자문

  11. No Image 17Oct
    by 風文
    2022/10/17 by 風文
    Views 1510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12.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10/01/28 by 바람의종
    Views 13390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13. No Image 13Oct
    by 바람의종
    2008/10/13 by 바람의종
    Views 7100 

    자리 매김

  14.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07/03/16 by 바람의종
    Views 7709 

    자라목

  15. No Image 24Nov
    by 바람의종
    2011/11/24 by 바람의종
    Views 12259 

    자기 개발 / 자기 계발

  16.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07/03/16 by 바람의종
    Views 11621 

    자그마치

  17. No Image 15Nov
    by 바람의종
    2011/11/15 by 바람의종
    Views 10758 

    자(字)

  18. No Image 02Oct
    by 바람의종
    2009/10/02 by 바람의종
    Views 15566 

    잎, 잎새, 잎사귀, 이파리

  19. No Image 27May
    by 바람의종
    2008/05/27 by 바람의종
    Views 7684 

    잊혀진(?) 계절

  20. No Image 23Nov
    by 바람의종
    2009/11/23 by 바람의종
    Views 12408 

    잊다, 잃다

  21. No Image 30Jan
    by 바람의종
    2011/01/30 by 바람의종
    Views 12625 

    있으매와 있음에

  22. No Image 30Nov
    by 바람의종
    2011/11/30 by 바람의종
    Views 13139 

    있사오니 / 있아오니

  23. No Image 03Jan
    by 風文
    2024/01/03 by 風文
    Views 1483 

    있다가, 이따가

  24. No Image 21Oct
    by 바람의종
    2010/10/21 by 바람의종
    Views 10895 

    있다가 / 이따가

  25. No Image 23Sep
    by 바람의종
    2008/09/23 by 바람의종
    Views 9033 

    있냐? 없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