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0 13:06

나들목 / 조롱목

조회 수 1277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들목 / 조롱목

나들이하기 좋은 철이다. 도시의 소음과 수많은 사람, 빌딩 숲을 벗어나 여행을 떠나려면 교통 혼잡을 겪어야 할 때가 있다. 여기저기 차가 밀리고 길이 막히는 구간이 있기 때문이다. 차량 정체와 지체 원인은 차선 ‘도색 작업’이나 ‘병목 현상’, 무리한 ‘차선 변경’에 따른 접촉사고 등 여러 가지. 갑갑한 교통 상황에서 ‘차선 도색’ ‘병목’ ‘차선 변경’이란 표현과 마주치면 더 답답해진다.

‘차선도색작업중’(車線塗色作業中). 한자까지 병기된 안내판을 본 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그리고 일본에서 보았다. ‘차선 도색’은 우리말에 어울리지 않는다. 국어사전에 표제어로 뒤늦게 오른 도색은 색칠·채색과 같은 뜻이다. 차선 도색은 그러니까 ‘차선을 색칠한다’는 표현이 된다. 도로에 선을 긋고 안내 표시를 새기는 작업은 ‘차선 긋기 작업’이나 ‘노면 표시 작업’이라 해야 제 뜻을 담아낸다.

병목 현상은 ‘도로의 폭이 병목처럼 갑자기 좁아진 곳에서 일어나는 교통 정체 현상’(<표준국어대사전>)이다. 병목과 함께 같은 뜻인 조롱목(조롱 모양처럼 된 길목)을 쓰면 어떨까. 병목(甁-)은 보틀넥(bottleneck)을 직역한 낱말이니 토박이말 살려 쓰자는 뜻이다. 인터체인지를 다듬은 나들목과 짝을 이루니 더 좋고. 차선(line)은 ‘자동차 도로에 주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그어 놓은 선’이고 차로(lane)는 ‘찻길’로 차가 다니는 길이다. “운전자가 차선 변경을 하며 신경전을…”(ㅁ방송 뉴스)은 ‘…차로 변경…’으로 해야 맞다.

경찰이 3색 화살표 신호등 도입 계획을 사실상 철회하기로 했다. 새로운 교통신호 체계 도입이 시민 생활에 혼란을 불러일으킨다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교통은 서로 잘 오고 가게 하는 것이니 교통 정책을 잘 세우고 제대로 펴나가려면 이번 결정처럼 여론과 소통해야 한다. 교통 용어도 시민들이 이해하기 쉽고 정확한 표현으로 다듬어 나가야 한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86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5436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3Apr
    by 바람의종
    2010/04/13 by 바람의종
    Views 12946 

    외곬과 외골수

  5. No Image 29Jan
    by 바람의종
    2008/01/29 by 바람의종
    Views 12945 

    쥐뿔도 모른다

  6. No Image 11Oct
    by 바람의종
    2010/10/11 by 바람의종
    Views 12932 

    마는, 만은

  7.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10/11/11 by 바람의종
    Views 12905 

    사위스럽다

  8.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10/11/11 by 바람의종
    Views 12900 

    섬뜩하다, 섬찟하다

  9. No Image 17Jul
    by 바람의종
    2010/07/17 by 바람의종
    Views 12899 

    되려, 되레

  10. No Image 01Sep
    by 바람의종
    2010/09/01 by 바람의종
    Views 12897 

    체제와 체계

  11. No Image 19Dec
    by 바람의종
    2010/12/19 by 바람의종
    Views 12896 

    12바늘을 꿰맸다

  12.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10/03/16 by 바람의종
    Views 12878 

    디귿불규칙용언

  13. No Image 28Sep
    by 바람의종
    2012/09/28 by 바람의종
    Views 12878 

    퍼드레기

  14. No Image 28Dec
    by 바람의종
    2007/12/28 by 바람의종
    Views 12869 

    군불을 떼다

  15. No Image 26Sep
    by 바람의종
    2007/09/26 by 바람의종
    Views 12867 

    언어의 가짓수

  16. No Image 02Mar
    by 바람의종
    2010/03/02 by 바람의종
    Views 12862 

    밥힘, 밥심

  17. No Image 28Apr
    by 바람의종
    2007/04/28 by 바람의종
    Views 12840 

    가관이다

  18.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12/02/01 by 바람의종
    Views 12838 

    접두사 '햇-, 숫-, 맨-'

  19. No Image 21Jul
    by 바람의종
    2010/07/21 by 바람의종
    Views 12837 

    작다와 적다

  20. No Image 13Dec
    by 바람의종
    2011/12/13 by 바람의종
    Views 12821 

    나즈막한 목소리

  21.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10/03/16 by 바람의종
    Views 12817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22. No Image 17Oct
    by 바람의종
    2012/10/17 by 바람의종
    Views 12801 

    뭘로 / 뭐로

  23. No Image 01Nov
    by 바람의종
    2010/11/01 by 바람의종
    Views 12795 

    맹숭맹숭, 맨송맨송

  24. No Image 27Jul
    by 바람의종
    2009/07/27 by 바람의종
    Views 12791 

    조우, 해우, 만남

  25. No Image 25Nov
    by 바람의종
    2011/11/25 by 바람의종
    Views 12786 

    수능 듣기평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