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0.25 17:58

쉐보레 유감

조회 수 1016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쉐보레 유감

풍전(豊田)이 있다. 일본 사람 이름이고, 땅 이름이며, 자동차회사 이름이다. 창업자 이름은 도요다, 본사가 있는 지명은 도요타, 한국에 세운 회사 이름은 토요타이다. 왜 그럴까. 창업자 이름 도요다 에이지(豊田英二·とよだ えいじ)는 일본 글자를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적은 것이다. 이 사람이 세운 자동차회사가 있는 도시 도요타(とよた) 역시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적은 것. 일본어 ‘と’[to]가 어두에 오면 ‘도’로 적는다. 동경(東京·とうきょう)을 도쿄라고 쓰는 것과 같다. 토요타는 한국법인 이름을 영어(TOYOTA) 그대로 읽어 ‘한국토요타자동차㈜’로 정하는 바람에 생긴 표기이다. 도요다, 도요타, 토요타. 이름은 하나인데 상황에 따라 달리 써야 하니 헷갈린다.

이런 일이 또 생겼다. 얼마 전 ‘한국지엠주식회사’로 간판을 바꾼 회사의 일이다. 사명 변경과 함께 내놓은 브랜드는 ‘쉐보레’이다. 현재 우리나라 언론에서 ‘Chevrolet’와 관련해 쓰고 있는 표기는 두 가지다. 스위스에서 태어난 미국의 자동차 레이서이자 설계 제조자 이름은 ‘셰브럴레이’이고, 그가 설계한 자동차 이름은 일본을 거쳐 들어온 표기(シボレ-)를 관용으로 인정한 ‘시보레’이다. “영어 발음과 유사하게 바꾸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는 회사 쪽은 ‘쉐보레’에 [∫-] 소릿값은 없다는 걸 몰랐던 모양이다. ‘쉐’ 발음은 [swe]로서 ‘쇠/쇄’와 다르지 않기에 ‘쇠(쇄)보레’와 구별되지 않는다.(표준발음법 4항 ‘붙임’) 표기법에 어긋나고 발음도 엉뚱한 쉐보레. 그럼에도, 브랜드 이름이니 그대로 쓰고 읽을밖에.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17
2028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0
2027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82
2026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08
2025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57
2024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090
2023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82
2022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02
2021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70
2020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21
2019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55
2018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82
2017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225
2016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824
201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842
2014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801
2013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31
2012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16
2011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31
2010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412
2009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651
200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43
2007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59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