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05.01 14:24

끊기다

조회 수 12292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끊기다

입춘이 지났다. 그래서일까, 끝날 줄 모르고 이어지던 한파도 한풀 꺾였다. 강추위 뒤끝에 산들 불어오는 바람은 봄 느낌을 안고 있다. 혹한 탓에 전기도 끊기고 수돗물도 끊길 만큼 이 겨울은 참 추웠다.

지난달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날씨 탓에 멈춰서는 사고가 있었다. “연이은 한파가 계속되면서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의 금속지지대가 수축되어서” 발생했다고 서울메트로 쪽은 밝혔다. 이 소식을 전한 어떤 방송기자는 “지하철 운행이 [끈겨서] 출근길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고 했다. 설 연휴를 앞둔 세밑에 수돗물 공급이 끊긴 일도 있었다. 서울 강북정수장에서 수도권 일부 지역으로 연결되는 대형 상수도관이 추위를 버티지 못하고 터져 발생한 일이다. “수돗물 공급이 [끈기면서] 설을 앞두고 해당 지역 주민이 큰 불편을 겪었다”는 내용도 전파를 탔다.

이어져 있던 것을 떨어지게 하거나 공급하던 것을 중단하는 ‘끊다’의 발음은 [끈타], ‘끊다’의 피동사 ‘끊기다’의 발음은 [끈키다]이다. ‘ㅎ(ㄶ, ㅀ)’ 뒤에 ‘ㄱ, ㄷ, ㅈ’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서 [ㅋ, ㅌ, ㅊ]으로 발음한다.(표준발음법 12항)

봄의 문턱 입춘이 지났으니 새싹 돋는 우수, 개구리 겨울잠 깨는 경칩이 머지않다. 동장군이 물러가면 ‘연분홍 치마 휘날리는’ 봄바람이 불 것이다. 봄바람 불면 지하철도 수도관도 추위 때문에 끊길[끈킬] 일 없을 거다. 새봄이 오면 ‘대동강 물 풀리듯’ 정치판에 끊겨[끈켜] 있던 언로도 이어졌으면 좋겠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60
1258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51
1257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51
1256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48
1255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746
1254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744
1253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744
1252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44
1251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42
1250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738
1249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736
1248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734
124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33
1246 러닝머신 바람의종 2012.05.22 7732
1245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29
1244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726
1243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726
1242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725
1241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22
1240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22
1239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19
1238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718
1237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