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01.30 18:32

신장이 좋다?

조회 수 11317 추천 수 3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신장이 좋다?

지난해 말 받은 건강검진 결과가 나왔다.

신장과 심장 기능 정상. 체중과 신장도 조금 늘었다. 비장과 담낭에 낭종 소견 있으니 추적 관찰 필요.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 위주 식단 권장. 폐포 기능 향상을 위해 금연할 것. 건강검진 결과 통보서에 담긴 내용은 대충 이랬다. 같은 내용을 이렇게 풀어쓰면 어떨까. “콩팥과 염통은 제 몫을 하고 있음. 몸무게 늘고 키도 커졌음. 지라와 쓸개에 주머니혹이 있으니 더 자세히 살펴보기 바람. 녹말은 적게 흰자질은 많이 먹을 것. 허파꽈리가 제구실하게 담배 끊을 것.” 앞과 뒤 글월의 뜻은 같다.

비장과 담낭은 내 몸 어디에 있는 내장인지 해가 거듭되어도 여전히 헷갈린다. 비장(脾臟)=지라, 담낭(膽囊)=쓸개. 이번에는 제대로 알아두어야겠다. 지라는 왼쪽 콩팥 위에, 쓸개는 오른쪽에 있는 간 아래에 붙어 있다.

‘염통에 털 났다’(체면도 없이 아주 뻔뻔하다), ‘염통에 바람 들다’(마음이 들떠서 제대로 행동하지 못하다)처럼 심장을 버리고 염통만 쓰자고 제안하려는 것은 아니다. 한자말도 외래어도 잘 품고 다듬어 써야 할 우리말이니까. 하지만 ‘신장이 좋다’는 말은 삼가야 한다. 스포츠 중계방송에 나선 해설자가 흔히 쓰는 이 말은 ‘키가 크다’ 하면 될 일이다. 그나저나 ‘겉은 멀쩡해 뵈는 아나운서가 속병을 앓고 있네’ 하는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된다. 내 ‘건강 성적표’를 그대로 옮겨 온 것은 아니니까. 독자 여러분 모두 건강하시기 바란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1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6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549
2688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60
2687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209
2686 끼치다와 미치다 바람의종 2011.05.01 12719
2685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27
2684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70
2683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34
2682 끊기다 바람의종 2011.05.01 12301
2681 병구완, 병구환, 병간호, 고수련 바람의종 2011.01.30 12546
2680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913
2679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632
» 신장이 좋다? 바람의종 2011.01.30 11317
2677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78
2676 곶감, 꽃감, 꽂감 바람의종 2011.01.30 12563
2675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바람의종 2010.12.19 11191
2674 변죽 바람의종 2010.12.19 10080
2673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73
2672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306
2671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947
2670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7028
2669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바람의종 2010.11.26 48186
2668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75
2667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