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01.30 18:30

아무개

조회 수 12787 추천 수 3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무개

아무개 아나운서 맞지요?

어느 날 택시 기사가 뜬금없이 내게 건넨 한마디. 방송 잘 듣고 있다, 요즘은 어떤 방송을 하느냐 따위의 말이 이어졌다. 온종일 라디오를 벗하며 사는 택시 기사이니 손님이 누구인지 목소리만으로 알아채는 것은 그리 놀랍지 않은 일이다. 내 이름 석 자까지 아는 기사 아저씨, 왜 ‘강 아나운서’가 아닌 ‘아무개 아나운서’라 했을까.

뉴스를 할 때, 특히 사건 사고 소식을 전할 때 흔히 쓰는 표현인 ‘모 씨’를 나는 ‘아무개 씨’라 했기에 그랬다. 일테면 ‘고속도로 삼중 추돌 사고로 운전자인 김 모 씨가 숨지고, 함께 타고 있던 박 모 씨 등 두 명이 크게 다쳤습니다’는 ‘… 김 아무개 씨가 … 박 아무개 씨 등 …’으로 말이다. 내가 ‘모 씨’를 ‘아무개 씨’로 전한 이유는 한자말보다 토박이말을 앞세워서 그런 것만은 아니다. 특정 성씨의 경우 뜻하지 않게 조상을 바꾸기 때문이다. 김씨, 이씨에 이어 셋째로 많은 성씨인 박씨가 그렇다. ‘박 모 씨’의 소릿값은 [방모씨]. 기사에서 익명 처리한 ‘박 씨’가 방송 뉴스에서는 ‘방 씨’가 되기도 한다. ‘박 아무개’와 ‘방 아무개’로 하면 헷갈릴 일이 없지 않은가. 이런 까닭에 나는 한동안 ‘아무개’를 고집했다.

말과 글은 하나이면서 그렇지 않기도 하다. 방송말은 뉴스 원고와 구성 대본 같은 글이 바탕이어도 전달은 말로 한다. 소릿값을 제대로 따져 바르게 발음하는 것은 프로그램에 담긴 메시지와 뉴스의 사실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한 토대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5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1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07
2204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289
2203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437
2202 대미관, 대북관 바람의종 2009.02.21 6705
2201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811
2200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3002
2199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75
2198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722
2197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502
2196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68
2195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395
2194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509
2193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101
2192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736
2191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43
2190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86
2189 무더위 바람의종 2009.02.17 6632
2188 낱알, 낟알 / 옛, 예 바람의종 2009.02.14 8928
2187 홑몸, 홀몸 바람의종 2009.02.14 12323
2186 욕지거리. 욕지기 바람의종 2009.02.14 9995
2185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531
2184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35
2183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