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01.30 18:30

아무개

조회 수 12776 추천 수 3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무개

아무개 아나운서 맞지요?

어느 날 택시 기사가 뜬금없이 내게 건넨 한마디. 방송 잘 듣고 있다, 요즘은 어떤 방송을 하느냐 따위의 말이 이어졌다. 온종일 라디오를 벗하며 사는 택시 기사이니 손님이 누구인지 목소리만으로 알아채는 것은 그리 놀랍지 않은 일이다. 내 이름 석 자까지 아는 기사 아저씨, 왜 ‘강 아나운서’가 아닌 ‘아무개 아나운서’라 했을까.

뉴스를 할 때, 특히 사건 사고 소식을 전할 때 흔히 쓰는 표현인 ‘모 씨’를 나는 ‘아무개 씨’라 했기에 그랬다. 일테면 ‘고속도로 삼중 추돌 사고로 운전자인 김 모 씨가 숨지고, 함께 타고 있던 박 모 씨 등 두 명이 크게 다쳤습니다’는 ‘… 김 아무개 씨가 … 박 아무개 씨 등 …’으로 말이다. 내가 ‘모 씨’를 ‘아무개 씨’로 전한 이유는 한자말보다 토박이말을 앞세워서 그런 것만은 아니다. 특정 성씨의 경우 뜻하지 않게 조상을 바꾸기 때문이다. 김씨, 이씨에 이어 셋째로 많은 성씨인 박씨가 그렇다. ‘박 모 씨’의 소릿값은 [방모씨]. 기사에서 익명 처리한 ‘박 씨’가 방송 뉴스에서는 ‘방 씨’가 되기도 한다. ‘박 아무개’와 ‘방 아무개’로 하면 헷갈릴 일이 없지 않은가. 이런 까닭에 나는 한동안 ‘아무개’를 고집했다.

말과 글은 하나이면서 그렇지 않기도 하다. 방송말은 뉴스 원고와 구성 대본 같은 글이 바탕이어도 전달은 말로 한다. 소릿값을 제대로 따져 바르게 발음하는 것은 프로그램에 담긴 메시지와 뉴스의 사실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한 토대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6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47
1258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51
1257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48
1256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746
1255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46
1254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744
1253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44
1252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42
1251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740
1250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736
1249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733
1248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732
1247 러닝머신 바람의종 2012.05.22 7732
1246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29
1245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28
1244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22
1243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721
1242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21
1241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19
1240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16
1239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714
1238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713
1237 샌드위치 바람의종 2008.02.15 77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