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01.30 18:27

곶감, 꽃감, 꽂감

조회 수 12578 추천 수 3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꽂감

서울 여의도에 있는 63빌딩을 64층으로 증축하였다면 그 빌딩의 이름을 어떻게 해야 할까? 숫자는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므로 ‘64빌딩’으로 해야 하나, 63이라는 숫자는 층수의 의미에서 벗어나 그 건물을 지칭하는 고유명사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으므로 층수에 관계없이 ‘63빌딩’으로 해야 하나. 두 안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다.

“이밖에 유자향이 나는 볼펜과 당근을 꽂감처럼 말랑말랑하게 만든…”

중앙 일간지 기사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사전은 ‘곶감’을 “껍질을 벗기고 꼬챙이에 꿰어서 말린 감”이라고 풀이해 놓았다. ‘곶감’은 ‘곶+감’으로 된 복합어다. ‘곶’은 ‘곶다’의 어간이고 ‘곶다’는 ‘꽂다’의 옛말이다. 그래서 ‘곶감’은 ‘곶은 감’이다. 한때 ‘먹거리’라는 말이 조어법상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 있었듯이 우리말에는 ‘곶은 감’을 ‘곶감’이라는 복합어로 만드는 기능이 있다. ‘늦잠, 접바둑, 익반죽’ 등 수많은 예가 있다. 그런데 ‘곶다’는 현대어에서 ‘꽂다’로 바뀌었다. 그렇다면 ‘곶다’를 말밑으로 하는 ‘곶감’도 ‘꽂감’으로 바꾸어 써야 할까? 그렇게 바꾸어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곶감’은 하나의 단어로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꽂다’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요즘의 곶감은 꼬챙이로 꽂지도 않으므로 굳이 ‘꽂다’를 따를 이유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언어대중은 ‘꽂감’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잦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글말에서는 대부분 ‘곶감’으로 쓰고, 사전도 ‘꽂감’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신문은 ‘곶감’으로 쓰는 것이 옳겠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50
2952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966
2951 지지부진 바람의종 2010.08.17 11098
2950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바람의종 2011.12.22 21250
2949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307
2948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7217
2947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91
2946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131
2945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730
2944 지슬 風文 2020.04.29 1523
2943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603
2942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781
2941 지리한 -> 지루한 바람의종 2012.06.13 10539
2940 지리하다,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8.12.26 10893
2939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86
2938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723
2937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712
2936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782
2935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6080
2934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89
2933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55
2932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767
2931 지긋이, 지그시 바람의종 2008.11.13 105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