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01.30 18:27

곶감, 꽃감, 꽂감

조회 수 12573 추천 수 3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꽂감

서울 여의도에 있는 63빌딩을 64층으로 증축하였다면 그 빌딩의 이름을 어떻게 해야 할까? 숫자는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므로 ‘64빌딩’으로 해야 하나, 63이라는 숫자는 층수의 의미에서 벗어나 그 건물을 지칭하는 고유명사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으므로 층수에 관계없이 ‘63빌딩’으로 해야 하나. 두 안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다.

“이밖에 유자향이 나는 볼펜과 당근을 꽂감처럼 말랑말랑하게 만든…”

중앙 일간지 기사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사전은 ‘곶감’을 “껍질을 벗기고 꼬챙이에 꿰어서 말린 감”이라고 풀이해 놓았다. ‘곶감’은 ‘곶+감’으로 된 복합어다. ‘곶’은 ‘곶다’의 어간이고 ‘곶다’는 ‘꽂다’의 옛말이다. 그래서 ‘곶감’은 ‘곶은 감’이다. 한때 ‘먹거리’라는 말이 조어법상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 있었듯이 우리말에는 ‘곶은 감’을 ‘곶감’이라는 복합어로 만드는 기능이 있다. ‘늦잠, 접바둑, 익반죽’ 등 수많은 예가 있다. 그런데 ‘곶다’는 현대어에서 ‘꽂다’로 바뀌었다. 그렇다면 ‘곶다’를 말밑으로 하는 ‘곶감’도 ‘꽂감’으로 바꾸어 써야 할까? 그렇게 바꾸어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곶감’은 하나의 단어로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꽂다’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요즘의 곶감은 꼬챙이로 꽂지도 않으므로 굳이 ‘꽂다’를 따를 이유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언어대중은 ‘꽂감’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잦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글말에서는 대부분 ‘곶감’으로 쓰고, 사전도 ‘꽂감’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신문은 ‘곶감’으로 쓰는 것이 옳겠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71
2204 [re] 시치미를 떼다 file 바람의종 2010.11.17 13175
2203 시치미를 떼다 1 바람의종 2010.11.16 15531
2202 거절과 거부 바람의종 2010.11.16 9073
2201 선소리 바람의종 2010.11.21 12179
2200 애먼 바람의종 2010.11.21 12039
2199 보전과 보존 바람의종 2010.11.25 17464
2198 국으로 바람의종 2010.11.25 10973
2197 열릴 예정이다 바람의종 2010.11.26 10648
2196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88
2195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81
2194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987
219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339
2192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97
» 곶감, 꽃감, 꽂감 바람의종 2011.01.30 12573
2190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80
2189 신장이 좋다? 바람의종 2011.01.30 11322
2188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657
2187 끊기다 바람의종 2011.05.01 12313
2186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55
2185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83
2184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43
2183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