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01.30 18:27

곶감, 꽃감, 꽂감

조회 수 12552 추천 수 3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꽂감

서울 여의도에 있는 63빌딩을 64층으로 증축하였다면 그 빌딩의 이름을 어떻게 해야 할까? 숫자는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므로 ‘64빌딩’으로 해야 하나, 63이라는 숫자는 층수의 의미에서 벗어나 그 건물을 지칭하는 고유명사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으므로 층수에 관계없이 ‘63빌딩’으로 해야 하나. 두 안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다.

“이밖에 유자향이 나는 볼펜과 당근을 꽂감처럼 말랑말랑하게 만든…”

중앙 일간지 기사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사전은 ‘곶감’을 “껍질을 벗기고 꼬챙이에 꿰어서 말린 감”이라고 풀이해 놓았다. ‘곶감’은 ‘곶+감’으로 된 복합어다. ‘곶’은 ‘곶다’의 어간이고 ‘곶다’는 ‘꽂다’의 옛말이다. 그래서 ‘곶감’은 ‘곶은 감’이다. 한때 ‘먹거리’라는 말이 조어법상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 있었듯이 우리말에는 ‘곶은 감’을 ‘곶감’이라는 복합어로 만드는 기능이 있다. ‘늦잠, 접바둑, 익반죽’ 등 수많은 예가 있다. 그런데 ‘곶다’는 현대어에서 ‘꽂다’로 바뀌었다. 그렇다면 ‘곶다’를 말밑으로 하는 ‘곶감’도 ‘꽂감’으로 바꾸어 써야 할까? 그렇게 바꾸어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곶감’은 하나의 단어로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꽂다’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요즘의 곶감은 꼬챙이로 꽂지도 않으므로 굳이 ‘꽂다’를 따를 이유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언어대중은 ‘꽂감’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잦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글말에서는 대부분 ‘곶감’으로 쓰고, 사전도 ‘꽂감’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신문은 ‘곶감’으로 쓰는 것이 옳겠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5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91
1258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758
1257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758
1256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58
1255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758
1254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55
1253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54
1252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48
1251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47
1250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44
1249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742
1248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740
1247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740
1246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736
1245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734
1244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33
1243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33
1242 러닝머신 바람의종 2012.05.22 7732
1241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729
1240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26
1239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22
1238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19
1237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