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2.19 14:01

12바늘을 꿰맸다

조회 수 12992 추천 수 4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2바늘을 꿰맸다

의존명사 중에 ‘단위명사’라는 것이 있다. 수효나 분량 등의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명사를 이른다. ‘돼지고기 한 근, 두부 한 모, 사과 한 접’에서 ‘근, 모, 접’이 단위명사다. 단위명사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명사라도 무엇을 세는 단위로 쓰일 수 있으면 단위명사가 될 수 있다. ‘상자, 병, 가마니’ 등도 단위명사가 될 수 있다.

곡식의 분량을 나타내는 단위명사로 ‘말, 되, 홉, 작’ 등이 있고 연탄의 수량을 나타내는 ‘장’이 있다. 길고 가느다란 물건이 한 줌에 들어올 만한 양을 ‘모숨’, 조기를 한 줄에 열 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을 ‘두름’, 북어 스무 마리를 ‘쾌’라고 한다. 신발에는 ‘켤레’, 직물 두루마리에는 ‘필’, 과일에는 ‘접’이 쓰인다. 외래어인 미터/킬로미터, 그램/킬로그램, 리터/데시리터, 아르/헥타르 등도 우리가 일상으로 쓰는 단위명사다. 단위명사를 정확하게 사용하면 말맛이 살아난다. 연탄을 ‘한 개’라고 해도 통하지만 ‘한 장’이라고 하면 말이 착 달라붙는 느낌을 준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6일 농구 시합 중 상대 선수의 팔꿈치에 입술을 부딪혀 12바늘을 꿰맸다.” 중앙 일간지 기사의 한 구절이다.

상처를 꿰맨 단위로 ‘바늘’을 썼다. 실을 꿴 바늘로 한 번 뜬 자국을 ‘땀’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12땀을 꿰맸다’고 해도 괜찮을 법하다. 사전은 이런 뜻의 ‘바늘’을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언중은 상처를 꿰맨 단위로 ‘땀’을 쓰지 않고 ‘바늘’로 통일해 쓰고 있다. 사전이 ‘바늘’을 받아들여야 할 것 같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48
2204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64
2203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745
2202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50
2201 유명세를 타다 바람의종 2008.10.30 7317
2200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566
2199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19
2198 끼여들기 바람의종 2008.10.31 9099
2197 덮혔다, 찝찝하다 바람의종 2008.10.31 12187
2196 결재, 결제 바람의종 2008.10.31 10950
2195 바람의종 2008.11.01 7282
2194 나아질른지 바람의종 2008.11.01 6019
2193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72
2192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6033
2191 당부 바람의종 2008.11.02 6699
2190 참가, 참석, 참여 바람의종 2008.11.02 10554
2189 당기다, 댕기다, 땅기다 바람의종 2008.11.02 6463
2188 떼기, 뙈기 바람의종 2008.11.02 7015
2187 니카마! 바람의종 2008.11.03 6214
2186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81
2185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505
2184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541
2183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7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