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1.16 07:26

시치미를 떼다

조회 수 15491 추천 수 24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시치미를 떼다

길들인 매로 꿩이나 새를 잡는 매사냥. 매사냥은 고려 때 특히 성했다고 전한다. 길들여진 매는 귀한 대접을 받았는데 도둑맞거나 바뀌는 것을 막기 위해 표지를 달기도 했다. 이 표지 이름을 시치미라고 한다. 이것을 떼면 주인이 누군지 알지 못한다. 여기서 ‘시치미를 떼다’에 ‘자기가 하고도 안 한 체하거나 알고도 모르는 체한다는 뜻이 생겨났다.

  • ?
    바람의종 2010.11.16 07:29
    <P>매사냥은 몽고에서 시작됐고 지금도 매사냥은 여전합니다. 시치미는 꼬리, 발목, 목 등에 달았습니다.</P>
    <P>새보다는 토끼, 여우 등을 잡습니다. 참고로 '송골매'도 몽골어가 어원입니다.</P>
    <P> </P>
    <P>- 風磬 -</P>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5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80
1258 공공칠 바람의종 2011.11.10 10971
1257 방금 바람의종 2011.10.27 8794
1256 륙, 육 바람의종 2011.10.27 12354
1255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65
1254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60
1253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22
1252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70
1251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29
1250 끊기다 바람의종 2011.05.01 12297
1249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629
1248 신장이 좋다? 바람의종 2011.01.30 11313
1247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76
1246 곶감, 꽃감, 꽂감 바람의종 2011.01.30 12551
1245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73
1244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286
1243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934
1242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70
1241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68
1240 열릴 예정이다 바람의종 2010.11.26 10638
1239 국으로 바람의종 2010.11.25 10967
1238 보전과 보존 바람의종 2010.11.25 17442
1237 애먼 바람의종 2010.11.21 120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