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1.11 22:26

날으는 자동차

조회 수 10511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날으는 자동차

용언(동사, 형용사)은 어미 활용의 규칙성에 따라 규칙용언과 불규칙용언으로 나뉜다. 불규칙용언 중 어간의 끝소리 ‘ㄹ’이 ‘ㄴ, ㄹ, ㅂ, 시, 오’ 앞에서 탈락하는 용언을 ‘리을불규칙용언’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리을불규칙용언을 인정하지 않고 규칙용언으로 보고 있다. 어간 끝소리 ‘ㄹ’이 ‘ㄴ, ㄹ, ㅂ, 시, 오’ 앞에서는 예외 없이 모조리 탈락하기 때문에 오히려 그것이 규칙적이라고 보는 것이다. 어간 끝소리 ‘ㅡ’에 ‘아, 어’로 시작되는 어미가 이어지면 ‘ㅡ’가 모조리 탈락하므로 ‘으불규칙용언’도 마찬가지 이유로 불규칙용언에서 제외하였다.

“2011년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하고 날으는 자동차가 등장한다.” 중앙 일간지 기사의 한 구절이다.

‘날으는’은 ‘날다’의 어간 ‘날’에 어미 ‘는’이 이어지면서 매개모음 ‘으’가 삽입된 꼴이다. 규정에 맞는 꼴은 ‘ㄹ’이 탈락한 형태인 ‘나는’으로 써야 한다. 그러나 대중의 언어생활에서 ‘나는’으로 쓰이는 경우는 잦지 않고 대부분 ‘날으는’으로 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시들다, 가늘다, 찌들다, 절다’도 마찬가지다. 대중이 외면해버린 규칙은 힘을 잃을 수밖에 없다. 물론 어문 규정이 대중의 입만 따라다닐 수는 없다. 잠시 잘못 쓰이다가 없어져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날으는’과 같은 꼴은 오랜 세월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인정할 때가 된 것 같다. ‘나는’과 ‘날으는’ 두 활용형을 함께 인정하는 것이 어떨까?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1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7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556
2226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93
2225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95
2224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99
2223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99
2222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700
2221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703
2220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705
2219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706
2218 뜰과 마당 바람의종 2008.02.23 7708
2217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708
2216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709
2215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711
2214 샌드위치 바람의종 2008.02.15 7714
2213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716
2212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717
2211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717
2210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20
2209 아시저녁·아시잠 바람의종 2008.01.31 7721
2208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25
2207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727
2206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727
2205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