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0.16 14:01

예산 타령

조회 수 1038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예산 타령

말에도 기성품이 있다. 어떤 말이 기성품이 되어 널리 쓰인다면, 대상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거나 부려 쓰기에 편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누가 처음 그 말을 썼을 때는 그야말로 멋진 맞춤형 표현이었을 것이다. 그랬기에 여러 사람이 가져다가 기성품으로 두루 쓰게 된 것이다. 문학 작품의 한 구절을 대중이 기성품으로 쓰는 예는 허다하다.

“현실과 동떨어진 잣대를 들이대는 교육청과 여기에 예산 타령만 하는 일선 학교의 의지 부족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학교의 급식 문제를 다룬 신문 기사의 한 구절이다.

누가 처음 썼는지는 알 수 없지만 “예산 타령만 한다”는 말은 매우 편리한 기성품 말이다. 그러나 돈을 들이지 않고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다. 그래서 어떤 조직이든지 예산 확보에 목을 맨다. 예산이 없으면 일을 할 수 없고, 일을 하지 못하면 조직의 존재 이유가 없어진다. 위의 기사에서 예산 타령만 하는 일선 학교도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서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을 것이다. 예산의 칼자루는 상급기관이 쥐고 있다. 어쨌든 결과적으로 예산을 확보하지 못했으니 학생 급식에 문제가 나타났을 것이다.

예산이 없어 못한다는 걸 탓할 수는 없다. 비판하는 쪽에서는 편리한 기성품 말로 “예산 타령만 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지만, 학교에서는 예산이 없는데 어쩌겠는가. 왜 예산이 없는가? 상급기관의 예산 책정은 적절했는가? 학교의 예산 확보 노력은 충분했는가? 이런 문제들은 덮어둔 채 편리한 말로 “예산 타령”으로만 치부해 버리면 학교로서는 매우 억울할 것이다.

우재욱/시인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47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507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3Nov
    by 바람의종
    2008/11/13 by 바람의종
    Views 10468 

    지긋이, 지그시

  5. No Image 04Jan
    by 바람의종
    2008/01/04 by 바람의종
    Views 10463 

    떼어논 당상

  6. No Image 23Jul
    by 바람의종
    2010/07/23 by 바람의종
    Views 10461 

    조개껍질

  7. No Image 05Nov
    by 바람의종
    2010/11/05 by 바람의종
    Views 10454 

    와중

  8. No Image 03Nov
    by 바람의종
    2010/11/03 by 바람의종
    Views 10453 

    속풀이

  9. No Image 29Apr
    by 바람의종
    2008/04/29 by 바람의종
    Views 10449 

    패수와 열수

  10. No Image 16Nov
    by 바람의종
    2011/11/16 by 바람의종
    Views 10448 

    지천에 폈다

  11. No Image 25Aug
    by 바람의종
    2010/08/25 by 바람의종
    Views 10447 

    냄새, 내음

  12. No Image 24Feb
    by 바람의종
    2008/02/24 by 바람의종
    Views 10445 

    중국의 언어

  13. No Image 18May
    by 바람의종
    2007/05/18 by 바람의종
    Views 10444 

    영락없다

  14. No Image 20Jun
    by 바람의종
    2010/06/20 by 바람의종
    Views 10442 

    -가량(假量)

  15. No Image 08Jun
    by 바람의종
    2007/06/08 by 바람의종
    Views 10440 

    기우

  16.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17. No Image 17Aug
    by 바람의종
    2010/08/17 by 바람의종
    Views 10433 

    쌍벽

  18. No Image 21Dec
    by 바람의종
    2007/12/21 by 바람의종
    Views 10433 

    조강지처

  19. No Image 10Mar
    by 바람의종
    2010/03/10 by 바람의종
    Views 10433 

    이제나저제나

  20. No Image 14Nov
    by 바람의종
    2011/11/14 by 바람의종
    Views 10428 

    거시기

  21. No Image 24Jan
    by 바람의종
    2008/01/24 by 바람의종
    Views 10422 

    사촌

  22. No Image 30Jan
    by 바람의종
    2008/01/30 by 바람의종
    Views 10422 

    한뫼-노고산

  23. No Image 31Mar
    by 바람의종
    2009/03/31 by 바람의종
    Views 10417 

    꾀하다, 꽤, 꿰고

  24. 차별하는 말 미망인

  25. No Image 26Mar
    by 바람의종
    2010/03/26 by 바람의종
    Views 10402 

    엄청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