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0.11 12:36

“돈이 남으십니다”

조회 수 650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돈이 남으십니다”

새로 산 구두에 흠집이 있어서 백화점으로 바꾸러 갔다. 가까이 있는 점원에게 구두 가게의 위치를 물었다. 점원이 답했다. “구두 매점은 4층에 있으십니다.” 4층에서 해당 상표의 매점을 찾아 다른 구두를 골랐다. 셈을 치르는데 새로 고른 구두가 먼저 산 구두보다 값이 싸다고 했다. 점원이 말했다. “돈이 남으십니다.”

좋은 언어 관행인지 아닌지는 따로 따져보아야겠으나, 우리말에는 복잡한 존대법이 있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면서 이 부분을 매우 어려워한다고 한다. 백화점 두 점원의 말은 흡사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외국인이 하는 말처럼 들린다.

요즘 젊은이들에게 존대법을 엄격히 지키라고 강요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말이란 시대에 따라 변천을 거듭하고, 우리의 전통적인 존대법은 현실에 맞지 않는 부분도 있다. 존대법에 ‘압존법’이라는 것이 있다. 문장의 주체가 말하는 이보다는 높지만 듣는 이보다 낮을 때는 주체를 높이지 않는 어법이다. “사장님, 김 전무가 입원했습니다”라고 하는 것이다. 여기서 ‘김 전무님’이라고 하면 어법에 어긋난다. 하지만 압존법은 현실 언어에서 많이 흔들리고 있다.

한때 ‘사물존대’라는 말이 있었다. “사모님, 눈이 참 예쁘십니다”라고 하는 것이다. ‘눈’은 존대 대상이 아니지만 ‘사모님’의 눈이기에 높이는 것이다. 이런 말투도 이젠 언어사회가 수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백화점 점원의 말투는 그런 것도 아니다. 백화점에서 손님을 응대하는 언어교육을 다시 했으면 한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49
1214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34
1213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22
1212 띄어스기 - "데" 바람의종 2008.10.23 11092
1211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39
1210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30
1209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5997
1208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2
1207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23
1206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07
1205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785
1204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019
1203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60
1202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0
1201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22
1200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27
1199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896
1198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11
1197 빌어, 빌려 바람의종 2008.10.14 11016
1196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470
1195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7
1194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46
1193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99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