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10.04 18:39

커피샵

조회 수 1171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커피샵

우리가 쓰는 말에는 고유어가 있고 외래어가 있다. 본디부터 있던 우리말이나 그 말들이 어우러져 새로 만들어진 말이 고유어이고, 다른 나라에서 들어와서 우리말처럼 쓰이는 말이 외래어다. 하늘·땅·바다 등이 고유어이고, 피아노·텔레비전·택시 등이 외래어다. 우리말에서 한자어는 딱히 외래어라고 하기 어렵다. 쓰임의 역사가 길고, 우리가 만들어 쓰는 한자어도 있기 때문이다. 이숭녕 선생은 생전에 한자어를 준고유어라고 했다.

외래어는 외국어가 아니다. 외국어를 받아들여 우리말로 삼은 이상, 그 말의 씀씀이는 더 이상 외국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변화가 있더라도 우리말 체계 안에서 이루어진다.

“서울 강남의 고즈넉한 커피샵에서 만난 그녀는 톱스타와 아줌마의 양극단을 경험하고…”

스포츠지 기사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외래어표기법 규정에 맞게 적으면 ‘커피샵’은 ‘커피숍’이다. 우리는 영어 단어 ‘shop’을 우리말로 받아들여 ‘숍’이란 이름으로 호적에 올렸다. 이 말의 본고장인 영국이나 미국에서 이 말의 발음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우리의 ‘숍’은 언제나 ‘숍’이다. 우리가 바꾸지 않는 이상.

그런데 문자 매체에서는 비교적 ‘커피숍’으로 바르게 적고 있지만, 전파 매체에서는 ‘커피샵’을 선호한다. 이런 말은 주로 본토 발음깨나 한다는 사람들이 퍼뜨리고 있다. 자기의 영어 실력을 자랑이라도 하듯이. ‘탑텐’이 ‘톱텐’보다 반짝이는 말인가. 영어 실력 자랑하려다가 자칫 제 나라 말에 서툰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93
2776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87
2775 바람의종 2012.07.27 9272
2774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5
2773 깃들다와 깃들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794
2772 까닭과 때문 바람의종 2008.01.31 7080
2771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73
2770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20
2769 까발리다, 까발기다 바람의종 2009.10.01 10952
2768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478
2767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299
2766 까치발 風文 2023.11.20 1302
2765 까치설날 바람의종 2010.09.05 8736
2764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06
2763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71
2762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696
2761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74
2760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41
2759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7215
2758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886
2757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50
2756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70
2755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