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29 18:49

세상은 아직…

조회 수 7503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상은 아직…

말에서 언어 대중, 크게는 인간 사회의 집단의식 같은 것이 발견될 때가 있다. 이때의 집단의식은 집단무의식이라고 해도 별 관계가 없다. 어쩌면 경계쯤에 있는 의식이 아닐까 싶다. 훈훈한 인간의 정이 느껴지는 소식을 전할 때 곧잘 쓰는 ‘세상은 아직’이라는 말에서 ‘아직’이라는 부사는 훈훈한 느낌을 싹 가시게 하는 말이다. 오싹한 느낌을 주는 말이지만 관용적으로 쓰이면서 그렇고 그런 말로 받아들여진다. 자기도 별로 넉넉지 못한 처지에 남몰래 어려운 이웃을 도와온 한 소시민의 선행 사실을 전할 때 “세상은 아직 살 만한 곳이다”라는 말이 섞이는 것은 낯설지 않다.

“세상에는 아직 온정이 남아 있다.” 중앙 일간지에 실린 에세이의 한 구절이다.

세상은 살 만한 곳이고 세상에 온정이 남아 있다면 인간 사회는 희망적이다. 그런데 왜 ‘아직’일까? 세상은 아직 살 만한 곳이고 세상에는 아직 온정이 남아 있지만, 언젠가는 살 만한 곳이 못 되게 되고 언젠가는 온정이 사라져버릴 것이라는 의식이 ‘아직’이라는 부사에 실려 있다. 학문이나 기술의 발전과는 관계없이 인간성이라는 것은 말라가고 있고, 그래서 세상은 언젠가는 사람이 살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릴 것이라는 의식이 말 속에 스며 있는 것이다. 그러나 누구도 이런 말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 것은,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모두 이런 의식에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9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410
1940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73
1939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277
1938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80
1937 '날으는' 과 '나는' 바람의종 2008.06.09 8282
1936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283
1935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86
1934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86
1933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86
1932 숫자의 속음들 바람의종 2010.08.06 8287
1931 영부인 바람의종 2009.12.14 8289
1930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91
1929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91
1928 당신은 누구시길래 바람의종 2008.09.24 8292
1927 떡해먹을 집안이다 바람의종 2008.01.04 8294
1926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296
1925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296
1924 연출했다 바람의종 2010.04.27 8296
1923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300
1922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302
1921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303
1920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305
1919 북녘의 경제 용어 바람의종 2010.02.25 83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