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25 13:08

어학

조회 수 7629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학

구약성경 창세기 11장에는 바벨탑 이야기가 나온다.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꼭대기가 하늘에 닿는 탑을 쌓으려고 했다. 하느님은 그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 서로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게 해 그 일을 막았다. 이후 온 땅의 언어가 혼잡하게 되었다. 11장 1절에 “온 땅의 구음이 하나이요 언어가 하나이었더라”라고 했듯이, 바벨탑을 쌓기 전에는 세상 모든 사람의 언어가 하나였다. 성경의 기록이 역사적 사실이라면 인류는 바벨탑을 쌓은 죗값으로 오늘날에 이르러 외국어 공부라는 엄청난 고통을 당하고 있는 셈이다.

“직장인 연봉 높을수록 어학 점수도 높다.” 중앙 일간지에 실린 기사 제목이다. ‘어학 점수’는 ‘외국어 점수’를 말한다. 예외는 있겠지만 대개의 경우 ‘영어 점수’를 말한다. ‘어학’이라는 말에 담긴 뜻은 자못 크다. 사전은 ‘어학’을 ‘어떤 나라의 언어, 특히 문법을 연구하는 학문’ 또는 ‘언어학’과 같은 말로 풀이해 놓았다. 여기에 “외국어를 연구하거나 습득하기 위한 학문”이라는 풀이가 또 하나 달려 있다. ‘어학 점수’라는 말은 이 뜻으로 썼을 것이다. 그러나 ‘어학’의 대중적 쓰임은 그냥 ‘외국어’다. 사전이 ‘외국어’라는 뜻의 ‘어학’을 받아들이면서 너무 거창한 해석을 달고 있지 않나 싶다.

영어 학습 열풍에 온 나라가 휩싸여 있다. 조기 유학도 영어 습득이 일차 목적이다. 그러다 보니 영어가 어학이라는 격조 높은 낱말로 표현되고 있다. 영어가 과연 어학일 수 있을지?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3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638
2204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758
2203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59
2202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62
2201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63
2200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764
2199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64
2198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65
2197 방울새 바람의종 2009.09.07 7768
2196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69
2195 빨치산 바람의종 2008.02.14 7769
2194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770
2193 상무성 바람의종 2010.09.29 7771
2192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772
2191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74
2190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774
2189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776
2188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77
2187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780
2186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80
2185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81
2184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87
2183 멘토링 바람의종 2010.03.04 77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