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3 13:47

조개껍질

조회 수 1049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조개껍질

뜻이 서로 비슷한 말을 ‘유의어’(類義語)라고 한다. ‘유의어’는 뜻이 서로 비슷하기는 하나 동의어에서는 조금 더 멀어진 말이다.

“성장과 경제성을 아무리 외쳐도 거기에 인간이 빠져 있다면 죽은 조개껍질의 나라일 뿐이다.” 중앙 일간지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껍질과 껍데기는 유의어라고 하겠다. 사전을 찾아보면 ‘껍질’은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로, ‘껍데기’는 ‘달걀이나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로 풀이하고 있다. 딱딱한가, 딱딱하지 않은가에 따라 두 말이 나뉜다. 그런데도 표준국어대사전은 ‘조개껍질’과 조개껍데기를 함께 올려놓았다. 껍질과 껍데기의 풀이에 갖다 대보면 ‘조개껍질’은 어긋난다.

이 두 말을 가치 개념으로 생각해 보면 간단치 않다. ‘껍질’은 ‘알’과 맞서는 말로 서로 가치중립적이다. “벼가 알이 찼다”에서 ‘알’은 벼 열매의 속 부분을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벼 열매에서 알과 껍질은 물체의 구성 부위를 지칭하는 가치중립적 개념이다. 그러나 사전의 해석을 벗어나 ‘벼껍데기’라는 말을 상정해 보면 이는 ‘알맹이’와 맞서는 가치 판단적 개념이다. 물체의 구성 부분을 유용한 알맹이와 쓸모없는 껍데기로 나눈 것이다.

조개에서 조갯살과 조개껍질을 가치중립적으로 본다면 ‘껍질’을 수긍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사에서는 형편없는 것이라는 뜻으로 썼으므로 ‘껍데기’가 옳겠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45
1148 쥐어 주다, 쥐여 주다 바람의종 2008.09.23 15922
1147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바람의종 2008.09.23 8871
1146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99
1145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59
1144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971
1143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839
1142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631
1141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7008
1140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78
1139 남사, 남새, 남살, 남우사스럽다 바람의종 2008.09.19 9748
1138 바람의종 2008.09.19 7461
1137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44
1136 비치다, 비추다 바람의종 2008.09.18 11371
1135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832
1134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089
1133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43
1132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51
1131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21
1130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25
1129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333
1128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56
1127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3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