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3 13:47

조개껍질

조회 수 1046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조개껍질

뜻이 서로 비슷한 말을 ‘유의어’(類義語)라고 한다. ‘유의어’는 뜻이 서로 비슷하기는 하나 동의어에서는 조금 더 멀어진 말이다.

“성장과 경제성을 아무리 외쳐도 거기에 인간이 빠져 있다면 죽은 조개껍질의 나라일 뿐이다.” 중앙 일간지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껍질과 껍데기는 유의어라고 하겠다. 사전을 찾아보면 ‘껍질’은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로, ‘껍데기’는 ‘달걀이나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로 풀이하고 있다. 딱딱한가, 딱딱하지 않은가에 따라 두 말이 나뉜다. 그런데도 표준국어대사전은 ‘조개껍질’과 조개껍데기를 함께 올려놓았다. 껍질과 껍데기의 풀이에 갖다 대보면 ‘조개껍질’은 어긋난다.

이 두 말을 가치 개념으로 생각해 보면 간단치 않다. ‘껍질’은 ‘알’과 맞서는 말로 서로 가치중립적이다. “벼가 알이 찼다”에서 ‘알’은 벼 열매의 속 부분을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벼 열매에서 알과 껍질은 물체의 구성 부위를 지칭하는 가치중립적 개념이다. 그러나 사전의 해석을 벗어나 ‘벼껍데기’라는 말을 상정해 보면 이는 ‘알맹이’와 맞서는 가치 판단적 개념이다. 물체의 구성 부분을 유용한 알맹이와 쓸모없는 껍데기로 나눈 것이다.

조개에서 조갯살과 조개껍질을 가치중립적으로 본다면 ‘껍질’을 수긍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사에서는 형편없는 것이라는 뜻으로 썼으므로 ‘껍데기’가 옳겠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1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8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45
2864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860
2863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955
2862 애가 끊어질 듯하다 바람의종 2008.01.24 10759
2861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378
2860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450
2859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354
2858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72
285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32
2856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948
2855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306
2854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458
2853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740
2852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51
2851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91
2850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바람의종 2008.01.26 15578
2849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598
2848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764
2847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388
2846 오지랖이 넓다 바람의종 2008.01.27 14343
2845 이골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27 16745
2844 인구에 회자되다 바람의종 2008.01.27 13701
2843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0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