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0 07:38

깜빡이

조회 수 946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깜빡이

필자는 다른 글에서 비교적 근래에 만들어진 우리말 중에서 가장 멋진 말로 ‘삐삐’와 ‘깜빡이’를 든 일이 있다. 삐삐는 휴대전화에 밀려 거의 사라졌지만, 그 이름만은 휴대전화에 비할 바가 아니다. ‘핸드폰, 모바일폰, 휴대폰’ 등으로 불리는 휴대전화는 불행하게도 ‘삐삐’와 같은 좋은 이름을 얻지 못했다.

“오른쪽 깜박이와 왼쪽 깜박이를 번갈아 켜면 중도인가.” 중앙 일간지에 실린 칼럼의 한 구절이다.

깜빡이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불빛이나 별빛 따위가 잠깐 어두워졌다 밝아지는 모양, 또는 밝아졌다 어두워지는 모양을 나타내는 의태부사 ‘깜빡’에 접미사 ‘-이’가 이어진 말이다. ‘깜박’과 ‘깜빡’은 느낌의 차이만 있을 뿐 의미로 나누어지지는 않는다. ‘깜빡’이 ‘깜박’보다 센 느낌을 줄 뿐이다. 사전은 느낌의 차이를 인정해 두 말을 함께 실어놓았다. 그러나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을 이르는 말로는 ‘깜빡이’만 실어놓았다. 어떤 사전은 ‘깜박이’를 ‘깜빡이’의 잘못으로 설명하고 있다.

신문 칼럼에서는 ‘깜박이’로 썼다. 사전적으로만 보면 잘못 쓴 말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 잘못이라고 할 수 있을까. 부사 ‘깜박’과 ‘깜빡’의 골라 씀은 자의적이다. 그러나 여기에 접미사 ‘-이’를 붙여 명사로 쓸 때에는 ‘깜빡이’로 통일한다는 것이 사전의 의도이겠으나, 언중에게 ‘깜박이’와 ‘깜빡이’ 중 하나를 골라 쓸 수 있을 정도의 권리는 있지 않을까.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3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42
2072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07
2071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11
2070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11
2069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914
2068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14
2067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14
2066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15
2065 서낭당 風磬 2006.12.29 7917
2064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920
2063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21
2062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22
2061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24
2060 바람의종 2009.07.31 7926
2059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928
2058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31
2057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32
2056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933
2055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33
2054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34
2053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35
2052 매무시 風磬 2006.11.26 7937
2051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