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0 07:31

구소련

조회 수 1181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소련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묵은’, ‘낡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구-’가 있다. ‘구세대, 구제도, 구시가지’ 등으로 쓰인다. 이 말은 한자 ‘舊’에서 온 말로서 ‘신’(新)과 맞선다. 따라서 ‘신세대, 신제도, 신시가지’ 등의 말도 있다.

“탈냉전과 함께 이념적 경직의 마술에서 깨어나고 구소련 외교문서의 대규모 공개에 힘입어…” 6·25 전쟁의 성격을 다룬 중앙 일간지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지금은 몰락하고 없는 ‘소련’을 ‘구소련’이라고 했다. 접두사 ‘구-’와 ‘신-’의 맞섬으로 보면 ‘구소련’은 ‘신소련’이라는 짝을 갖지 못한다. 소련이 몰락하고 다시 소련이 생겨났다면 ‘구소련’과 ‘신소련’으로 구분할 수 있겠지만, 소련은 몰락한 소련 그것뿐이다. 접두사 ‘구-’와 ‘신-’이 맞서지 못하고 어느 한쪽만 있는 말은 이상하게 느껴진다. 멸망한 고려와 조선은 그냥 고려이고 조선이지, ‘구고려’, ‘구조선’은 이상하지 않은가.

‘신한국’이라는 짝을 갖지 못한 ‘구한국’이라는 말이 있기는 하다. 구한국은 1897년 10월12일부터 1910년 8월29일까지의 이 땅의 국호인 ‘대한제국’의 다른 호칭으로 흔히 ‘구한말’이라고도 한다. 대한제국을 ‘구한국’이라고 하는 것은 ‘대한민국’과 구별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신한국’이라는 말을 품고 있다.

일부 사전은 ‘구’(舊)를 관형사로 올려 ‘지난날의’, ‘지금은 없는’으로 풀이하고 있다. 굳이 이 뜻에 맞추어 ‘지난날의 소련’이란 뜻으로 쓰려면 ‘구 소련’으로 띄어 써야 할 것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43
2864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1964
2863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42
2862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39
2861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35
2860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1931
2859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1930
2858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22
2857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18
2856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1915
2855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13
2854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885
2853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880
2852 노일전쟁 바람의종 2010.06.19 11878
2851 좋은 아침! 바람의종 2008.03.27 11873
2850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871
2849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869
2848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68
2847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1866
2846 황소바람 바람의종 2010.09.04 11855
2845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45
2844 말짱 도루묵이다 바람의종 2008.01.06 11842
2843 일본식 용어 - ㅇ 바람의종 2008.03.12 118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