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0 07:31

구소련

조회 수 1183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소련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묵은’, ‘낡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구-’가 있다. ‘구세대, 구제도, 구시가지’ 등으로 쓰인다. 이 말은 한자 ‘舊’에서 온 말로서 ‘신’(新)과 맞선다. 따라서 ‘신세대, 신제도, 신시가지’ 등의 말도 있다.

“탈냉전과 함께 이념적 경직의 마술에서 깨어나고 구소련 외교문서의 대규모 공개에 힘입어…” 6·25 전쟁의 성격을 다룬 중앙 일간지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지금은 몰락하고 없는 ‘소련’을 ‘구소련’이라고 했다. 접두사 ‘구-’와 ‘신-’의 맞섬으로 보면 ‘구소련’은 ‘신소련’이라는 짝을 갖지 못한다. 소련이 몰락하고 다시 소련이 생겨났다면 ‘구소련’과 ‘신소련’으로 구분할 수 있겠지만, 소련은 몰락한 소련 그것뿐이다. 접두사 ‘구-’와 ‘신-’이 맞서지 못하고 어느 한쪽만 있는 말은 이상하게 느껴진다. 멸망한 고려와 조선은 그냥 고려이고 조선이지, ‘구고려’, ‘구조선’은 이상하지 않은가.

‘신한국’이라는 짝을 갖지 못한 ‘구한국’이라는 말이 있기는 하다. 구한국은 1897년 10월12일부터 1910년 8월29일까지의 이 땅의 국호인 ‘대한제국’의 다른 호칭으로 흔히 ‘구한말’이라고도 한다. 대한제국을 ‘구한국’이라고 하는 것은 ‘대한민국’과 구별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신한국’이라는 말을 품고 있다.

일부 사전은 ‘구’(舊)를 관형사로 올려 ‘지난날의’, ‘지금은 없는’으로 풀이하고 있다. 굳이 이 뜻에 맞추어 ‘지난날의 소련’이란 뜻으로 쓰려면 ‘구 소련’으로 띄어 써야 할 것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97
2908 성급, 조급 바람의종 2012.08.30 10079
2907 화성돈 바람의종 2012.08.30 10925
2906 으레, 으례, 의례 바람의종 2012.08.23 15081
2905 나무랬다, 나무랐다 / 바람, 바램 바람의종 2012.08.23 21028
2904 과욋돈 바람의종 2012.08.21 8983
2903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93
2902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403
2901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21
2900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217
2899 스포츠 중계 바람의종 2012.08.17 11625
2898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바람의종 2012.08.16 20816
2897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5019
2896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3056
2895 날개쭉지 바람의종 2012.08.14 10585
2894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42
2893 마린보이 바람의종 2012.08.13 12272
2892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56
2891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9019
2890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257
2889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바람의종 2012.07.27 14012
2888 바람의종 2012.07.27 9282
2887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7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