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0 07:31

구소련

조회 수 1182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소련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묵은’, ‘낡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구-’가 있다. ‘구세대, 구제도, 구시가지’ 등으로 쓰인다. 이 말은 한자 ‘舊’에서 온 말로서 ‘신’(新)과 맞선다. 따라서 ‘신세대, 신제도, 신시가지’ 등의 말도 있다.

“탈냉전과 함께 이념적 경직의 마술에서 깨어나고 구소련 외교문서의 대규모 공개에 힘입어…” 6·25 전쟁의 성격을 다룬 중앙 일간지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지금은 몰락하고 없는 ‘소련’을 ‘구소련’이라고 했다. 접두사 ‘구-’와 ‘신-’의 맞섬으로 보면 ‘구소련’은 ‘신소련’이라는 짝을 갖지 못한다. 소련이 몰락하고 다시 소련이 생겨났다면 ‘구소련’과 ‘신소련’으로 구분할 수 있겠지만, 소련은 몰락한 소련 그것뿐이다. 접두사 ‘구-’와 ‘신-’이 맞서지 못하고 어느 한쪽만 있는 말은 이상하게 느껴진다. 멸망한 고려와 조선은 그냥 고려이고 조선이지, ‘구고려’, ‘구조선’은 이상하지 않은가.

‘신한국’이라는 짝을 갖지 못한 ‘구한국’이라는 말이 있기는 하다. 구한국은 1897년 10월12일부터 1910년 8월29일까지의 이 땅의 국호인 ‘대한제국’의 다른 호칭으로 흔히 ‘구한말’이라고도 한다. 대한제국을 ‘구한국’이라고 하는 것은 ‘대한민국’과 구별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신한국’이라는 말을 품고 있다.

일부 사전은 ‘구’(舊)를 관형사로 올려 ‘지난날의’, ‘지금은 없는’으로 풀이하고 있다. 굳이 이 뜻에 맞추어 ‘지난날의 소련’이란 뜻으로 쓰려면 ‘구 소련’으로 띄어 써야 할 것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1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7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719
2314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78
2313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17
2312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82
2311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15
2310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85
2309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22
2308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294
2307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03
2306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08
2305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27
2304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11
2303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992
2302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747
2301 비치다, 비추다 바람의종 2008.09.18 11350
2300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29
2299 바람의종 2008.09.19 7445
2298 남사, 남새, 남살, 남우사스럽다 바람의종 2008.09.19 9729
2297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37
2296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6965
2295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609
2294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791
2293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